“문 대통령, 박원순 피소 알았나”… 통합, 유출 의혹 총공세

입력 2020-07-16 04:02
미래통합당 주호영(앞줄 왼쪽) 원내대표와 이종배(오른쪽) 정책위의장 등이 1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통합당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 피소 사실 유출 의혹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의 해명을 요구했다. 권현구 기자

미래통합당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에 대한 성추행 고소 사실이 어디서 어떻게 흘러나갔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이 고소 사실을 경찰청으로부터 보고받았다면 대통령에게도 보고가 됐을 것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서도 공세를 폈다. 오는 20일 진행되는 김창룡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박 전 시장 청문회 성격이 짙어질 전망이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15일 의원총회에서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진상 조사를 한다는 건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기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조속히 사건을 검찰로 송치해서 특임검사나 특별수사본부를 통해 성추행 사건의 진실, 공무상 비밀누설 과정, 묵인이나 은폐를 공모한 흔적 등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성추행 의혹을 서울시 정무라인이나 비서실이 은폐하거나 방조한 제보가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조사를 하는 건 적절치 않다. 서울시는 수사나 조사의 대상”이라고도 했다.

통합당은 문 대통령이 박 전 시장 고소 건과 관련해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밝히라는 요구도 했다. 김기현 통합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청와대 국정상황실이 (경찰로부터 성추행 고소 사실을) 보고받았다면 대통령이 모를 리 없다. 대통령께 보고되지 않았다면 직무유기”라며 “문 대통령이 이 사안을 보고받았는지, 보고받았다면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스스로 밝히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하루빨리 권력의 압력에서 자유로운 야당 추천 특별검사 임명과 국회 국정조사 실시를 촉구한다”고 했다.

통합당은 고소 사실 유출 경위를 파악하겠다며 김창룡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박 전 시장 의혹 관련 증인 11명을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여당 거부로 불발됐다. 통합당이 추가 증인으로 요청한 이들은 서울시장 비서실에 파견된 경찰관과 서울경찰청 여성청소년과장, 서울시 여성권익담당관, 인권담당관, 비서실장, 젠더특보 등이다. 피해자가 지난 8일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조사를 받은 이후 경찰청과 청와대 국정상황실에 보고되는 과정에서 누가 어떤 경로로 고소 사실을 유출했는지 밝혀야 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이미 증인과 참고인 신청이 이뤄진 만큼 추가 채택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통합당 의원들은 “경찰과 청와대는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 여성의 고소 건 유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구체적인 보고 절차와 경과 등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국민과 국회의 요구에는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당시 고소접수 건과 관련한 유출 경위를 국민 앞에 명명백백하게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박 전 시장이 실종되기 직전 서울시 공관에서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대책회의의 성격과 서울시가 피해자의 호소를 외면하거나 묵살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통합당은 인사청문회 이후에도 행정안전부 업무보고와 대정부질문 등을 통해 관련 의혹을 다루겠다는 계획이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