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판정 직전 자가격리 무시하고 다중이용시설 이용… 방역체계 구멍 지적

입력 2020-07-16 04:07

자가격리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단검사 결과를 기다려야 할 피검사자가 확진판정 직전 다중이용시설을 돌아다닌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방역체계에 허점이 뚫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광주에서는 일부 확진자들이 보건 당국의 검사만 받고 확진 여부가 확인되지도 않은 시점에 사우나, 병원, 약국, 식당 등을 드나들며 다른 사람들에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퍼뜨리자 검사 이후 강제력이 없는 자가격리 적절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 76번째 확진자와 지난달 말 배드민턴 동호회에서 밀접 접촉한 회원 3명의 경우 코로나19 확진 판정이 내려진 10일 자가격리를 하지 않고 평상시처럼 일상생활을 이어갔다.

지난 9일 선별진료소에서 체취검사를 받은 A씨는 확진 당일인 10일 새벽 사우나를 다녀왔고 B씨와 C씨 역시 같은 시간 병원, 약국, 미용실, 식당 등을 아무 제약없이 출입했다.

이로 인해 A씨 가족과 지인 등 4명이 추가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A씨가 드나든 다중이용시설을 매개로 확진자가 더 나올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A씨 등은 검체를 채취할 때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가격리를 해 달라는 선별진료소의 권유와 안내를 받았지만 이를 완전히 묵살했다.

14일 오전에는 코로나19 검체 채취자가 코로나19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사이 그 가족이 광주공항에서 제주행 비행기에 탑승했다 이륙이 지연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광주공항발 제주행 티웨이 항공기에 광주 170번째 확진자가 된 D씨 가족과 친구 등 2명이 탔다가 이륙 20여분 직전에 확진판정이 내려져 탑승객 180여명이 방역·소독작업을 위해 트랩을 내렸다가 다시 탑승하는 불편을 겪었다.

시는 코로나19 체취 검사를 한 접촉자 등은 확진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결과 통보 이전에도 자가격리 지침을 어길 경우 법적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을 정했다. 자가격리 무단이탈에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엄정하게 대응한다는 것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