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편파적 방역 조치’ 항의… 정 총리 “소통 강화하겠다”

입력 2020-07-15 00:01
정세균 국무총리(가운데)가 1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한국교회 지도자 오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14일 정세균 국무총리와 만나 교회를 상대로 한 정부의 방역강화 조치가 교계와 신의를 저버리는 조치라며 강력 항의했다. 정 총리는 교계의 협조에 감사를 표한 뒤 방역강화 조치의 배경을 설명하며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지도자들은 14일 서울 국무총리공관에서 정 총리와 오찬 간담회를 했다. 교계에선 한교총 김태영 문수석 류정호 대표회장과 NCCK 이홍정 총무, 육순종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장 등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지도자들이 참석했다. 정부에선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성수 국무총리비서실장 등이 함께했다.

교계 지도자들은 정부가 보인 교계와 소통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교계가 그동안 현장예배를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와 극복을 위해 솔선수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교회를 특정해 제한조치를 취한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의 진원지가 교회 예배당인 것처럼 과장해 교회의 종교활동을 통제하려 하는 등 기독교를 탄압한다는 시각까지 교계 일각에서 등장했다는 분위기도 전했다.

이들은 정부가 방역지침 준수 여부를 따지지 않고 교회의 소모임만 일률적으로 금지한 것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다. 정부는 교인들이 셀모임 교사모임 등 교회 차원의 소모임을 카페나 식당에서 가져도 최고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일반인들은 카페나 식당에서 자유롭게 모임을 하도록 한 것과 비교할 때 편파적이고 불합리한 차별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 총리는 “교회 예배는 지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소모임만 금지했는데, 결과적으로 (논란이 일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교계 지도자들은 정부와 교계의 소통 강화를 위해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을 비롯해 문체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함께 참여하는 한국교회와 소통 채널을 만들 것도 제안했다. 한국교회와 정부가 상시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는 취지다. 7월 방역 통계가 나오는 대로 교회에 대한 제한조치 해제를 검토해 줄 것도 요청했다.

정 총리는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교계와 소통을 강화하고 상황이 호전되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놓았다.

임보혁 조성은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