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4일 같은 당 류호정 장혜영 의원이 박원순 전 서울시장 조문을 거부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박 전 시장 조문 논란으로 당내 ‘탈당 사태’가 벌어지자 당대표가 직접 수습에 나선 것이다. 일각에서는 심 대표의 사과가 피해자 중심의 메시지를 냈어야 할 정의당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심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두 의원은 피해 호소인을 향한 2차 가해가 거세지는 것을 우려해 피해 호소인에 대한 굳건한 연대 의사를 밝히는 쪽에 무게중심을 뒀다”면서도 “두 의원의 메시지가 유족들과 시민의 추모 감정에 상처를 드렸다면 대표로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류호정 장혜영 의원은 박 전 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전직 비서를 향한 2차 가해를 우려해 조문하지 않기로 했다. 반면 심 대표, 배진교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박 전 시장 빈소를 찾았다. 정의당 내에선 조문 거부를 비난하며 탈당하는 당원들과 지도부를 지지하는 당원들 간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심 대표는 “정의당은 애도의 시간 동안 고인의 공적을 반추하며 저를 포함한 전현직 의원들이 조문하고 명복을 비는 동시에 피해 호소인에게 고통이 가중돼선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며 “장례 기간에 추모의 뜻을 표하는 것과 피해 고소인에 대한 연대 의사를 밝히는 일이 서로 대립하지 않는다는 게 저와 정의당의 입장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시는 이번 사건에 대해 철저한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허위사실 유포, 비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당내 혁신위원을 비롯한 청년의원들은 심 대표의 메시지가 적절하지 않다고 날을 세웠다. 한 혁신위원은 “2차 가해를 방지하고 진상규명하는 일과 고인을 애도하는 일을 동시에 병행했어야 했다”며 “심 대표의 발언은 정의당이 병행해야 할 두 가지 길을 모두 지워버렸다”고 비판했다.
다른 관계자는 “독립적 위상을 갖는 두 의원이 한 발언을 대신 사과한 건 부적절했다”며 “결과적으로 당이 나아가는 길이 아니라 내부 갈등 국면이 됐다”고 말했다.
정의당에서는 조국 전 장관 사태와 박 전 시장 조문 논란 등을 거치며 당 지도부와 청년의원 등의 메시지가 어긋나는 모습이다.
정의당 관계자는 “추구하는 가치는 다르지 않은데 문제 해결 방식에 차이가 있다”며 “그 간극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결국 이번 진통은 정의당이 ‘누구를 대변할 것인가’와 직결되는 문제”라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