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이스타 M&A 안갯속

입력 2020-07-15 04:06
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제시한 ‘최후통첩’의 마감 시한(15일)을 하루 앞둔 14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고용유지를 전제로 체불 임금을 반납하겠다’는 마지막 카드를 제시했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어 인수·합병(M&A) 성사 여부는 막판까지 안갯속이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본사에서 ‘이스타항공 정상화를 위한 공개 제안’ 기자회견을 열고 “구조조정을 중단한다는 전제로 체불 임금을 반납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M&A에서 걸림돌이었던 250억원 규모의 체불 임금을 포기하겠다는 것이다.

노조는 M&A 무산 시 제주항공에 책임을 묻겠다고 압박했다. 노조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셧다운, 구조조정 전반을 지휘 감독했다는 증거가 많다”며 “무산 시 이스타항공 직원 1600명을 길거리로 내몬 책임, 시장독점을 위해 이스타항공을 의도적으로 파산시킨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이어 “지난 5월 제주항공은 25개 노선 운수권 중 11개를 몰아 받는 등 M&A 특혜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스타항공 사측도 막판까지 미지급금 규모를 줄이기 위해 협력사와 국토교통부 등에 유류비, 리스비를 깎아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의 노력으로 미지급금이 당초 1000억여원에서 상당 부분 줄어들었다.

제주항공은 15일 밤 12시까지 이스타항공이 줄여온 미지급금 규모를 본 후 파기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막판까지 어떤 변수가 작용할지 알 수 없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미지급금이 해결되지 않는다고 해서 계약이 자동 파기되는 건 아니다”며 “미지급금 변동 추이를 보고 다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재천 제주항공 부사장은 지난 10일 고용노동부와의 면담 자리에서 “이스타항공이 해결할 수 있는 미지급금 규모는 전체의 15%밖에 되지 않는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노조가 제기한 운수권 특혜 의혹에 대해 “제주항공이 배정받은 11개 노선 중 9개 노선은 타 항공사에서 신청하지 않은 노선”이라며 반박했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