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해외유입 확진자 급증, 특단 대책 필요하다

입력 2020-07-14 04:05
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어 해외발 감염 확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3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2명 늘었는데, 이 가운데 해외유입이 무려 43명이다. 해외유입 신규 확진자는 지난 3월 25일(51명) 이후 110일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지난 4월 중순 이후 해외유입 확진자는 10명 미만에 그치며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지만, 세계 곳곳의 코로나19 재유행 상황과 맞물려 지난달 26일 이후 18일째 두 자릿수 증가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최근 한 달간 해외유입 확진자 중 외국인이 내국인의 배를 웃도는 등 외국인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다고 한다.

방역 당국이 어제부터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4개국에서 입국하는 외국인의 경우 PCR(유전자 증폭검사) 음성 확인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토록 하는 등 입국 관리를 강화한 것도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한 조치일 게다. 이들 4개국은 입국자 대비 확진자 비율이 높은 순서로 선정됐다고 한다. 요즘 숫자가 늘어난 이들 입국자는 주로 원양어선이나 농어촌 등에서 일하기 위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과 10일 이틀에만 미국에서 입국한 장병과 미국인 민간 근로자 등 16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주한미군 관련 누적 확진자도 7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해외유입 확진자의 경우 검역 또는 입국 후 자가격리 과정에서 걸러지는 만큼 지역감염으로 번질 위험성은 낮다는 게 방역 당국의 판단이다. 하지만 ‘무증상 환자’는 제대로 걸러지지 않고, 자가격리 위반 사례도 드러난 만큼 지역전파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결코 방심하지 말아야 한다. 해외유입 확진자를 감소시키고, 또 확실한 방역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할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