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장례가 진행되면서 온라인은 고인을 추모하는 데 대한 찬반 여론으로 완전히 양분된 모습이다.
12일 친여성향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박 전 시장이 국정농단 사태 당시 집회 참석자들을 위해 편의를 제공했던 사실을 떠올리는 게시물이 속속 올라왔다. 서울시청 앞 시민분향소 방문 인증 게시물도 보였다. 고인에 대한 장례가 마무리되기 전까지는 추모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전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객원교수는 전날 “박 시장이 한 여성(피해자)에게 얼마나 큰 잘못을 저질렀는지는 아직 모른다. 그 만한 ‘남자사람친구’를 다시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면서 “박 시장을 빼고 한국 현대 여성사를 쓸 수는 없을 것”이라고 추모했다.
친여 성향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성추행은 분명 나쁜 범죄이지만 사람이 죽을 일은 아니다.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성추행을 당한) 르윈스키도 잘 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서울시청 홈페이지에 마련된 온라인 분향소에는 이날 오후 10시 기준 100만4000여명이 추모의 뜻을 밝혔다.
성추행 혐의로 고소된 박 시장을 추모하는 것 자체가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페이스북에 “공7 과3 같은 공과론은 박정희와 전두환을 옹호하던 이들이 펴던 논리”라면서 “고인 등이 주장해 왔던 ‘피해자 중심주의’로 이 사안을 이해해야 하지 공과 과를 구분하는 행위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서울대 우 조교 성희롱 사건 등의 변론을 맡았던 고인이 정작 부하 직원에게 성추문으로 고소를 당했다”며 비판하는 게시물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일부 지지자들이 시도했던 ‘피해자 찾기’에 대해서도 “2차 가해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하는 글도 있었다.
박 시장의 장례가 서울특별시장(葬)으로 치러지는 데 대한 반감도 강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하는 시기에 시민분향소 설치 등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비슷한 내용의 청원이 올라와 이날 오후 10시 기준 55만여명이 동의했다.
▶
▶
▶
▶
▶
▶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