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박원순 서울시장, 백선엽 예비역 육군 대장, 안희정 전 충남지사 모친상 등 상가에 조화를 보낼 때마다 찬반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고인의 공과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면서 조화를 보내는 것 자체가 논쟁이 되는 모양새다. 대통령의 조화 발송은 의례적인 행위이자 정치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대통령 조화에 정치적 논란이 따라붙는 것에 거리를 뒀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2일 기자들을 만나 “청와대 차원에서 (조화에 대한) 다른 입장 발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박 시장 빈소에 조화를 보냈고, 11일에는 친일 이력 논란이 있는 백 장군 빈소에도 보냈다.
관련 규정에 따른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박 시장은 현직 서울시장으로 장관급 대우를 받고 국무회의에 배석했기 때문에, 백 장군도 무공훈장을 받았기 때문에 대통령 조화를 받을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시장에 대한 조화는 보수 측에서 반대하고, 백 장군에 대해선 진보에서 반대하지만 역사적 평가는 천천히 해도 된다”며 “청와대가 한쪽 의견만 들을 수 없다. 통합의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가장 반발이 컸던 문 대통령의 조화는 안 전 지사 모친상에 보낸 것이었다. 안 전 지사의 경우 성폭행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형이 확정됐고, 형 집행정지로 일시 석방됐을 뿐인데 모친상에 대통령 조화를 보낸 건 문제라는 비판이었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관련 부서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했다”고만 밝혔다.
역대 다른 대통령의 조화도 예민한 정치 상황과 맞물릴 경우 보내도 문제, 안 보내도 문제인 경우가 많았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조화를 보냈으나 현장에서 곧바로 짓밟혔다. 노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검찰 수사로 보복을 해놓고는 조화를 보냈다고 분노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정치적 반대 진영이나 비판 세력엔 조화를 안 보내는 것으로 논란이 많았다. 일례로 2015년 11월 당시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이 부친상을 당했을 때 조화를 보내지 않았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