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어 서울시장 포함… 내년 4월 ‘대선급’ 재보선

입력 2020-07-11 04:06

박원순(사진 오른쪽) 서울시장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내년 4월 7일로 예정된 재·보궐 선거 구도가 출렁이고 있다. 부산시장뿐 아니라 서울시장 보궐선거까지 추가되면서 선거판 자체가 커졌다. 2022년 3월에 실시되는 대선을 11개월 앞두고 서울과 부산에서 광역단체장 보궐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는 것은 처음이다. 서울(840만명)과 부산(290만명) 유권자는 전국 유권자의 4분의 1에 달하는 만큼 여야의 사활을 건 선거전이 예상된다.

경기와 경남 지역에서도 보궐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최종 선고를 앞두고 있으며, 김경수 경남지사는 ‘드루킹 댓글’ 사건 관련 항소심 선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20대 국회에서 벌어진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에 대한 재판 결과에 따라 국회의원 재보선 규모는 더 커질 수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부담은 커졌다. 공교롭게 오거돈(사진 왼쪽) 전 부산시장이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사건으로 물러난 이후 박 시장이 전직 비서로부터 성추행 혐의로 고소를 당했다. 앞서 미래통합당은 부산시장 보궐선거와 관련해 “과연 민주당이 후보를 낼 자격이 있느냐”고 비판한 바 있다. 민주당 당헌에는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그 직위를 상실해 재·보궐 선거를 하게 된 경우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라고 돼 있다.

민주당으로선 문재인정부 후반기에 실시되는 재보선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이미 당 안팎에서는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민심 이탈이 심상치 않다는 목소리가 높다. 고공 행진을 거듭했던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율도 최근 주춤하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역대 정부에서 반복됐던 정권 말 권력 누수 현상까지 겹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야당은 벌써 총력전에 나설 태세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당 정강·정책개정특위 세미나에 참석해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또 경우에 따라 다른 선거를 전제한다면 대선에 버금가는 선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