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모 자네티(58)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는 지난달 30일 한국에 입국한 후 경기도 수원의 한 레지던스 시설로 향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대면 공연으로 처음 치러지는 18~19일 콘서트 등 경기필의 공연에서 관객과 음악적 교감을 나눌 수 있다면 2주간의 자가격리쯤은 감수할 각오가 됐었기 때문이다.
자네티는 9일 유튜브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2주 동안 갇혀 있는 게 쉽지는 않다”면서도 “관객과 약속한 공연을 무사히 마치기 위해 한국에 왔다.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바이러스보다) 우리 삶에서 예술의 가치가 완전히 잊히는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탈리아 출신 지휘자 자네티는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영국 버밍햄 심포니 등 유럽 유수의 심포니에서 활약해온 거장이다. 경기필 창단 21년 만의 첫 외국인 상임지휘자로 그가 2018년 9월 취임한 후 경기필은 단원 기량과 레퍼토리 모두 풍성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2월 이탈리아로 갔다가 코로나19 확산에 발이 묶였던 그는 한국 보건 당국과 수차례 통화를 하고 비행기 예약을 몇 번씩이나 바꾸는 등 우여곡절 끝에 입국했다. 해외 아티스트들이 최근 내한 공연을 위해 입국했지만 그처럼 자가격리 중 간담회를 연 사례는 없었다.
오는 14일 자가격리가 해제되는 자네티는 “한국에 오기 전 이탈리아에서 3일 내내 도서관에 틀어박혀 바이러스 전파 위험을 낮추면서 공연을 올릴 방법을 연구했다”면서 “경기필과 나는 이제 준비가 됐다”고 자신했다.
18~19일 경기아트센터와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모차르트&베토벤’은 거리두기 좌석제를 적용하는 것은 물론 코로나 시대에 맞게 레퍼토리를 다시 구성했다. 당초 70명의 합창단이 출연하는 말러 교향곡 3번 대신 작은 규모의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과 베토벤의 현악 4중주 16번을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선보인다.
지난 1월 베를린 공연을 끝으로 반년 넘게 무대에 서지 못했다는 자네티는 현재 야외 공연, 온라인 공연 등 경기필의 음악을 지속할 방안을 강구 중이다. 그가 생각하는 코로나 시대 음악의 역할은 무엇일까. 그는 베토벤이 현악 4중주 악보에 썼던 ‘그래야만 할까? 그래야만 한다!’는 유명한 문구야말로 코로나 시대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에게 그래야만 하는 건 음악입니다. 우리는 (음악을 통해) 일상으로 돌아가고 우리 영혼의 필수적인 양식을 채울 수 있습니다.”
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