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부 네이멍구자치구 내 3곳에서 고위험 전염병인 흑사병(페스트)균이 검출됐다. 네이멍구에서는 지난 5일 흑사병 확진자가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 이보다 앞서 네이멍구와 인접한 몽골에서도 흑사병 확진자가 2명 나와 몽골 초원을 중심으로 흑사병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신랑망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네이멍구 정부는 “네이멍구 지역 3곳에서 흑사병균이 검출됐고,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15명이 자가격리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네이멍구 바옌나오얼시에서 목축민 1명이 림프절 흑사병 확진 판정을 받았다.
네이멍구 보건 당국은 “흑사병균이 검출된 3곳 중 1곳은 확진자가 있던 바옌나오얼의 한 지역”이라며 “이 지역에서 지난달 18일 발견됐던 쥐 4마리의 사체가 이후 흑사병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지난 1일에는 네이멍구 북서쪽에 있는 몽골 호브드 지역에서 불법 사냥한 마못을 먹은 형제가 흑사병에 걸렸다. 몽골 당국은 이들 형제와 밀접 접촉한 146명을 격리 조치했으며, 울란바토르와 호브드를 오가는 항공편을 취소하는 등 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
흑사병은 쥐벼룩에 감염된 들쥐 토끼 등 야생 설치류의 체액이나 혈액에 접촉하거나 벼룩에 물리면 전염될 수 있고, 사람 사이에도 비말(침방울) 등으로 전염된다. 네이멍구 당국은 전염병 전파 가능성이 있는 동물을 불법 사냥하거나 먹지 말고 마못 등 동물이 병들거나 죽은 것을 보면 즉시 신고하도록 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번 흑사병 발병과 관련, 중국에서 흑사병이 잘 관리되고 있으며 위험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WHO는 “흑사병은 드물고 일반적으로 풍토병으로 남아 있는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며 “중국에서는 지난 10년간 산발적으로 흑사병 사례가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