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합당, 의사일정 합의해 강력한 대여 견제 나서길

입력 2020-07-08 04:03
미래통합당이 국회로 돌아왔지만 아직 7월 임시국회 의사일정에 합의하지 않아 국회가 계속 공전되고 있다. 일정이 합의돼야 개원식을 열 수 있고, 이후 교섭단체 대표연설, 대정부질문, 인사청문회 개최 등을 할 수 있지만 올스톱된 상태다. 이렇다 보니 임기가 5월 말에 시작됐음에도 300명 의원이 아직 의원선서도 하지 못했다. 개원식이 이번 주 중 열리지 않으면 문재인 대통령은 1987년 개헌 이후 가장 늦게 개원연설을 하는 대통령이 된다니 ‘희한한 기록’만 양산하는 21대 국회가 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통합당은 의사일정 협상에서 일방적 원 구성을 되돌리기 위한 논의도 진행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7일에도 법사위원장 자리를 야당 몫으로 되돌리든가, 최소한 21대 국회 전·후반기로 나눠 맡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렇지 않으면 당초 여당이 통합당 몫으로 내건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받지 않겠다고 했다. 통합당은 또 검·언 유착 특검,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국정조사도 요구하고 있다.

일방적 원 구성에 계속 반발하는 통합당의 입장이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내외 악재가 가득한 상황에서 원 구성 문제에 대한 앙금 때문에 국회를 이토록 오랫동안 공전되게 해선 안 된다. 개원 이후 발의된 법안이 1500건이 넘는 등 할 일은 계속 쌓이고 있다. 통합당이 더이상 법사위원장 자리에 연연하지 말고 조속한 의사일정 합의를 통해 국회 안에서 대여 견제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 그게 야당 본연의 역할이고, 지지자들도 그런 모습을 보고 싶어 할 것이다. 아울러 7개 상임위원장 자리도 되찾아오는 게 순리에 맞다. 상임위원장 7명이 있고 없고에 따라 대여 견제에 있어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통합당도 잘 알 것이다. 여당도 의사일정 협상에서 통합당이 요구하는 다른 것들은 최대한 수용하는 등 포용의 자세를 보여줄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