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치환 신곡, 진보권력 정면 비판

입력 2020-07-08 04:05

민중가수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안치환(55·사진)이 “시민의 힘, 진보의 힘은 누굴 위한 것인가”라며 정치권력을 직접 겨냥한 신곡을 발표했다.

소속사 A&L엔터테인먼트는 7일 정오 안치환이 디지털 싱글 ‘아이러니’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안치환은 신곡에서 “눈 어둔 권력” “기회주의자” “자뻑의 잔치” “서글픈 관종” “죽 쒀서 개줬니” 등의 가사를 통해 정치권력을 신랄하게 풍자했다.

“일 푼의 깜냥도 아닌 것이/ 눈 어둔 권력에 알랑대니/ 콩고물의 완장을 차셨네”로 시작하는 ‘아이러니’는 현 권력에 대한 거침없는 표현이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끼리끼리 모여 환장해 춤추네/ 싸구려 천지 자뻑의 잔치뿐/ 중독은 달콤해 멈출 수가 없어/ 쩔어 사시네 서글픈 관종이여” 같은 가사 역시 그의 권력에 대한 냉소와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진보의 힘 자신을 키웠다네”의 가사를 통해 비판의 대상이 현 정치권력임을 암시하기도 했다.

나아가 곡에 대한 스스로의 설명을 더해 권력 비판을 보다 구체화하기도 했다. 안치환은 “세월은 흘렀고 우리들의 낯은 두꺼워졌다. 그날의 순수는 나이 들고 늙었다. 어떤 순수는 무뎌지고 음흉해졌다. 밥벌이라는 숭고함의 더께에 눌려 수치심이 마비되었다”라고 꼬집었다. 또 “권력은 탐하는 자의 것이지만 너무 뻔뻔하다. 예나 지금이나 기회주의자들의 생명력은 가히 놀라울 따름이다. 시민의 힘, 진보의 힘은 누굴 위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소속사는 “기존의 밴드 사운드와 일렉트로닉 신스 사운드의 조화가 인상적인 곡으로 싱어송라이터 안치환의 음악적 스펙트럼이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소개했다.

안치환은 연세대 재학시절 노래패 ‘울림터’를 시작으로 1986년 노래모임 ‘새벽’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거쳐 89년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마른 잎 다시 살아나’ 같은 노래를 통해 싱어송라이터로서 인정받았다. 80년대 이전 기존 민중가요의 특성이었던 집단의 이야기가 아닌 개인의 이야기를 포크록 어법으로 담아낸 ‘내가 만일’을 히트시켰다. 97년에 결성한 밴드 ‘자유’와 함께 5집 앨범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를 발표해 다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지난 4월과 5월에는 각각 ‘바이러스 클럽’ ‘봄이 오면’을 발표했다. 두 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