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특구 특별시’로 도약하며 미래 성장판을 마련했다.
울산시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열린 국무총리 산하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시가 신청한 ‘울산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최종 심의·의결했다고 7일 밝혔다. 울산의 게놈서비스산업특구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와 울산테크노산단, 울산대학교병원, 울산병원 등 일대 1.198㎢다. 지난해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이은 두 번째 성과다.
규제자유특구란 지역균형발전과 신기술·신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 샌드박스 등 규제 특례 및 지자체·정부 지원계획을 담은 특구계획에 따라 지정된 구역을 말한다.
울산시는 앞으로 4년간 2개의 법적 규제사항을 면제받고, 울산정보산업진흥원과 UNIST, 울산대학교병원, 11개 관련기업 등과 함께 3개의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이들은 오는 2022년 7월까지 총사업비 477억원이 투입되는 게놈 빅데이터 기반 바이오헬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게놈서비스산업은 글로벌시장에서 블루오션으로 꼽히지만, 우리나라에선 각종 규제에 막혀 연구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울산시는 이번 특구지정으로 국내 최초로 인간게놈 정보를 활용한 감염병 대응 기술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헬스케어와 정밀의료서비스 산업화 실현을 위한 바이오데이터 팜 구축·실증 운영, 심혈관질환·우울증 등 질환맞춤형 진단마커 개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유전체 분석 및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등이 대표 사업이다. 또 울산시가 전국 최초로 진행하고 있는 울산 만명 게놈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게놈 중심 바이오빅데이터 분석 AI사업에도 착수한다.
중기부는 울산 등 특구 내 혁신기업 등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지도록 올해 하반기 420억원 규모의 규제자유특구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울산시는 특구 지정기간에 9개의 전문기업 유치와 396명의 고용유발 효과 및 774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2030년까지 규제 특례를 통한 게놈서비스산업 사업화로 총매출액 2000억원, 2000만달러 수출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울산시는 앞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기반 게놈전문 산업단지 조성과 국내외 게놈바이오·AI기업, 연구소를 유치해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울산 게놈서비스산업이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고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석유화학·정밀화학 소재산업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바이오 신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