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이 장기화하면서 비(非)코로나 환자의 치료에 차질이 생긴다는 지적에 대해 향후 대책을 검토하기로 했다(국민일보 7월 6일자 1·13면 기사 참조).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은 6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이외의 중증질환자들이 감염 확산으로 인해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정책적 과제”라며 “이를 예방하고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조정관은 “코로나19로 인해 다른 중증질환자들이 진료기회를 적절하게 보장받지 못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분석이 필요하다”면서도 “언론 지적의 기본적인 취지에 대해 정부로서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다른 환자들이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노력하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점은 의료계와 정부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중요한 숙제”라고 덧붙였다.
다만 코로나19로 응급실에서 사망하는 환자가 증가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