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대북전단과 ‘쌀페트병’ 등을 북측으로 살포해 온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와 박정오 큰샘 대표 형제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서울지방경찰청 대북전단·물자 살포 수사 태스크포스(TF)는 30일 오전부터 두 사람을 남북교류협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이들이 대북전단과 비인가 물자를 살포한 사실과 단체의 활동자금 확보 방식 및 사용 내역 등 그동안 제기된 의혹에 대해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경찰은 지난 26일 자유북한운동연합과 큰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으며, 박상학 대표의 휴대전화와 차량에 대한 압수수색도 실시했다. 경찰은 또 자유북한운동연합 등 탈북민 단체들이 대북전단과 대북물자 등을 살포한 경기도 김포·파주·연천, 인천 강화군 등 접경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현장 참고인 조사도 진행했다.
자유북한운동연합은 정부의 단속 및 처벌 방침에도 지난 22일 파주에서 대북전단 50만장을 살포했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사전에 확보한 압수물 분석 결과와 이날 소환조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추가 소환 및 사법처리 여부 등을 결정할 방침이다.
조사 후 박상학 대표는 취재진과 만나 “국민에게는 표현의 자유를 막고 재갈을 물리고, 김여정이 난리 치니까 (정부가) 주적의 편에 섰다”며 “이게 평양인지, 서울인지 헷갈린다”고 했다. 앞서 정부는 북한이 이달 초 우리나라 탈북민 단체가 살포해 온 대북전단을 문제 삼으며 강경발언을 쏟아내자 지난 10일 자유북한운동연합과 큰샘을 남북교류협력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이에 경찰은 40명의 수사인력으로 구성된 전담 수사 TF를 구성하고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