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8일 인천국제공항공사(인국공) 정규직 전환 논란에 대해 “가짜뉴스로 촉발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인국공 사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본질적인 문제이며 불공정 문제와는 거리가 멀다고 거듭 선을 그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최초 SNS 글에서 인천공항 보안검색요원이라고 자처한 분이 정규직으로 전환돼 5000만원의 연봉을 받게 됐다는 글을 올렸고, (이에 대한) 검증 없이 일부 언론은 로또 채용이라고 보도했다”며 “이후 언론의 팩트체크로 가짜뉴스임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논란이 소모적으로 번지지 않으려면 문제의 본질을 봐야 한다. 결국 (본질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문제”라며 “그 목적은 양극화를 해소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런데도 지금 일각에서 불공정 문제를 제기해 안타깝다”며 “현재까지 우리 정부에서 공공부문에서만 약 19만여명이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이게 인국공만의 일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사태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는 데 조심스러워하고 있지만, 청와대와 마찬가지로 일부 언론의 잘못된 보도가 국민의 혼란을 불렀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앞서 이해찬 대표는 인국공 논란에 대해 “이런 사소한 일로”라고 말했다가 “사소한 편은 아니지만”이라고 정정했다. 김두관 의원은 “조금 더 배웠다고 비정규직보다 2배가량 임금을 더 받는 것이 오히려 불공정”이란 발언으로 청년층의 거센 반발을 불렀다.
불공정 문제로 부각돼 청년층의 반발이 커지면서 여당 의원의 소신 발언도 나왔다. 이원욱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청년 일자리 뺏기가 아니다’ ‘가짜뉴스 때문’이라는 식으로 설명하는 것은 본질을 잘못 본 것”이라며 “인국공 관련 청년들의 분노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불공정성에 대한 문제 제기”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30대 의원들 사이에서 우려하는 기류도 읽힌다. 한 의원은 “청년들에게 미안하다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 윤미향 사태보다 더 심각해질 수 있고, 청년들 상처가 오래가서 다음 선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공공기관의 과도한 안정성과 높은 임금이 큰 사회적 비용을 만드는 것 같다”며 “근본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일자리의 지위와 서열이 현재와 같이 유지되는 이상 개선하기 쉽지 않은 문제”라고 토로했다.
미래통합당은 연일 정부·여당을 때리고 있다. 김은혜 통합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정부와 여당은 이제 울타리를 치고 을과 을의 싸움, 청년들마저 내편 네편으로 갈라놓고 있다”며 “이해찬 대표가 인국공 사태를 사소한 일이라고 했다가 다시 언론 탓으로 주워 담는 촌극을 빚었다. 이 ‘사소한 일’의 후폭풍은 김두관 의원을 통해 정점을 쳤다”고 꼬집었다. 하태경 의원도 “현실을 너무 모르고 특혜와 공정 구분도 못 한다”고 김두관 의원을 직격했다.
박재현 이상헌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