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자산운용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자 금융 당국이 국내 사모펀드에 대한 전수조사 계획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내 헤지펀드 1위 업체 라임자산운용의 1조7000억원 환매 중단 사태에 이어 옵티머스자산운용도 1000억원에 달하는 환매 중단을 선언하자 사모펀드 시장의 운용 실태를 살펴보겠다는 취지다.
28일 금융 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이번 주 초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예금보험공사 등 유관기관과 함께 합동점검회의를 열고 사모펀드 전수조사 일정과 방식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내 전문 사모 운용사는 230여곳, 전체 사모펀드 수는 1만여개에 달한다. 회의에선 운용사 등에 대한 현장검사를 진행하는 금감원 자산운용검사국에 유관기관 인력을 지원하는 방안 등도 확정될 전망이다.
옵티머스자산운용은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는 명목으로 지난 3년여간 5500억원 규모의 ‘옵티머스 크리에이터’ 펀드를 NH투자증권(4528억원)과 한국투자증권(407억원) 등 판매사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팔았다. 안전한 공공 채권에 투자해 연 3% 수익률을 지급한다는 말에 개인투자자들이 몰려들었다. 그러나 수익은커녕 원금도 돌려주지 못해 ‘환매 중단’을 선언한 펀드 규모만 현재까지 900억원에 달한다. 최대 5500억원 전액이 환매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이에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23일 “(사모펀드의)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한번 전체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금융 당국의 합동점검에선 사모펀드 운용사와 판매사(은행·증권사 등), 수탁사, 사무관리회사 등에 대한 교차 점검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옵티머스자산운용 환매 사태에서 공공 채권에 투자한다는 명목으로 모집한 투자금이 실제로는 사채에 투자된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한편 이 같은 ‘사모펀드 잔혹사’를 초래한 금융 당국의 책임론도 강하게 불거지고 있다.
양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