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의 힘, 코로나 항체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었다

입력 2020-06-23 19:26 수정 2020-06-23 21:37
우리 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셀트리온은 동물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고, 제넥신은 내년까지 백신 효능 검증과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겠다고 자신했다.

이수영 셀트리온 상무

이수영 셀트리온 상무는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신성장동력 포럼’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과정에서 중요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 표면단백질을 무력화하는 항체 후보군을 선정했고, 페럿(족제비 일종)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2월 코로나19 확진자의 혈액을 받아 항체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항체 치료제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항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체내에 머물면서 백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셀트리온은 300개 이상 항체로 스크리닝 검사를 해 후보군을 추렸고, 질병관리본부와 중화능 검증을 거쳐 총 14개의 후보 항체를 확보했다.

이 상무는 “저농도·고농도 투여 그룹으로 나눠 페럿에 약물을 투여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약물을 투입하지 않은 비교 그룹보다 콧물·기침, 활동성 수치가 확연히 개선됐다”며 “고농도 그룹은 바이러스가 최대 100배 이상 감소하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폐 조직 검사에서도 약물을 투여한 저농도·고농도 그룹에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크게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이 상무는 코로나19 바이러스뿐 아니라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일반 감기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까지 중화시키는 ‘슈퍼항체’ 선별도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 상무는 “최근 세포주 개발을 완료하고 임상 물질 대량 생산에 돌입해 예정대로 7월 내 인체 임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희정 제넥신 사장

지희정 제넥신 사장은 코로나19 예방 DNA 백신 ‘GX-19’ 개발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 사장은 “임상 1단계를 완료하고 경쟁 제품과 비교해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연내 목표”라며 “내년 초 추가 임상을 진행해 효능을 확실히 검증하고 2022년에는 제품 허가와 동시에 국민 대상 접종을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GX-19는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 항원 유전자를 함유한 플라스미드 DNA 백신이다. 산학연과 각 분야 전문가가 의기투합해 개발했다. 자궁경부암 치료 DNA 백신 등 안정성이 입증된 플랫폼 기술이 사용됐다. 제넥신은 동물(원숭이) 실험에서 야생형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중화항체 생성을 확인한 데 이어 지난 19일에는 사람에게 이 백신을 투여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이 상무는 “미국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메이저 회사 7곳이 국가 지원을 받아 임상을 이끌고 있다”며 “정부가 지원을 강화하고 기업이 세계 경쟁에서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 사장도 “범정부 차원에서 많은 지원이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