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 되고 누군 안 되냐!” 공항 보안요원 정규직 전환 후폭풍

입력 2020-06-23 00:04
사진=연합뉴스

현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1호 사업장인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보안검색원 1900명 직접고용 방침에 후폭풍이 거세다. 지난 1월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된 한국공항공사 보안검색원들은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다. 인천공항 보안검색원 중에서도 2017년 이후 입사자는 시험 등 공개경쟁 절차를 거쳐야 해 일부 노조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2017년부터 진행해오던 비정규직 9785명의 정규직 전환 작업을 이달 말 마무리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중 생명, 안전과 밀접한 분야 공항소방대(211명)와 야생동물통제(30명), 여객보안검색(1902명)은 직접고용하고 공항운영(2423명) 등 나머지는 자회사 3곳을 설립해 정규직 고용한다.

논란이 되는 지점은 지난 4월까지만 해도 공사가 경비업 면허 없이는 직접고용하기 어렵다고 했던 보안검색원이 예상치 못하게 직접고용 대상에 올랐다는 점이다. 지난 3년간 인천공항과 검색원 노조는 노·사·전(노조·사용자·전문가) 위원회를 세 차례 열고 ‘경비업 등 관련법 때문에 직접 고용할 수 없으니 자회사에 임시 채용한 후 법 개정 후 직접고용한다’는 최종 합의를 지난 2월 이끌어냈다. 이때 일부 노조는 ‘직접고용 시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이 나온 2017년 이후 입사자는 공개경쟁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항목에 반대했지만, 관련법 개정 때까지 탈락자 구제방안을 사측과 협의하겠다는 판단하에 최종 합의에 동의했다.

그러나 인천공항이 관련법 개정 없이 보안검색원을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고용하기로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보안검색 노조 4개 중 2개가 반발하고 있다. 2017년 이후 입사자 비중이 높은 이 두 노조는 공개경쟁 절차로 탈락자가 대거 나올 걸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임남수 인천공항 부사장은 “관계 부처가 경비법 등 개정이 위헌 소지가 있다고 해 청원경찰 대안을 급하게 추진했다”며 “탈락자 구제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같은 업무를 하는데도 직접고용 대상에서 제외된 인천공항 보안경비 1700명과 한국공항공사의 보안검색원은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다. 인천공항 보안경비원들은 이날 열린 구본환 인천공항 사장 기자회견 자리에서 “같은 경비직인데 우리는 왜 청원경찰이 아니냐”며 시위했다. 유민송 전국공항노조 보안본부 본부장은 “우리는 한국공항 자회사 고용 후 월급이 220만원대에서 180만원대로 떨어지는 등 피해를 보고 있는데 불공평하다”고 했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