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한 직후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화를 해 “미국이 직접 북한에 식량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주장했다.
국민일보는 23일(현지시간) 출간 예정인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났던 방’의 한반도 관련 주요 부분을 21일 입수했다.
북한은 지난해 5월 4일 강원도 원산에서 단거리 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했다. 보고를 받은 볼턴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했다. 두 번째 시도 만에 이뤄진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진정하라. (별일 아닌 것처럼) 깎아내려라(play it down)”고 했다. 볼턴은 세 번째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정부의 성명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며칠이 지난 7일엔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했다. 이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 미사일 발사의 심각성을 경시하려고 애썼다는 게 볼턴의 평가다. 문 대통령은 또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불만을 장황하게 설명했다고 볼턴은 썼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한국이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이나 유엔 세계식량프로그램을 통해 북한에 식량을 지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국이 북한에 식량을 직접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볼턴은 주장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 기구를 통해 (대북) 지원을 하겠다고 답하고, 이런 제안을 문 대통령에게 했다는 사실을 북한에 알려줄 것을 부탁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장담과 달리 미국의 대북 식량 지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볼턴은 회고록에서 자신이 북한에 대한 식량 지원을 막았다면서 “(식량 지원이 이뤄지면) 북한은 ‘미사일을 쏘면 공짜 식량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비판했다. 볼턴은 또 북한은 2019년 봄과 여름에 더 많은 미사일을 시험했으며 이는 어떠한 보복 조치도 없을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자신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
▶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