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새절역(6호선)과 관악구 서울대입구역(2호선)을 잇는 서부선 경전철이 2028년 개통된다. 과도하게 우회하던 이동경로와 복잡한 환승으로 지체됐던 서북권~서남권 이동시간이 최대 16분 단축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서부선 경전철 민간투자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22일 밝혔다. 2000년대 초 노선을 계획한 지 20년만의 결실이다. 서부선 경전철은 총 연장 16.15㎞로 새절~신촌~광흥창~노량진~장승배기~서울대입구 등 16개 정거장으로 건설된다. 기존 5개 간선 도시철도와 환승하며 연계된다.
서부선 경전철은 현재 국토교통부 승인 과정에 있는 ‘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도 반영돼 대중교통 사각지역 해소를 위한 핵심사업 중 하나이자 지역주민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서울시는 대표적인 교통소외지역인 서북·서남부를 도심부와 직접 연결하는 새로운 교통축을 완성해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서부선 경전철이 완공되면 신촌, 여의도와 같이 대학·상업·업무지구 등 통행수요가 많은 지역까지 한번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1, 2, 6, 7, 9호선과도 환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새절역에서 서울대입구역까지 이동시간은 지하철 최단시간 기준으로 1회 환승, 약 36분이 걸리는 반면 서부선이 완공되면 약 22분으로 14분 단축된다. 또 서울대입구에서 노량진, 장승배기로 이동할 때 22~23분에서 6~7분으로 최대 16분이 단축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민간투자심의 등 관련 행정절차를 거쳐 올해 하반기에는 시행사·운영사 선정을 위한 제3자 제안공고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어 2022년까지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3년 착공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강남이 발전한 것은 결국 지하철을 잘 놨기 때문이다. 시민 반응과 요구가 가장 큰 것이 교통이다. 교통은 복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이후에는 ‘강북횡단선’을 가장 먼저 추진하고 면목선, 난곡선, 우이신설선 연장, 4호선 급행화 등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오주환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