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규 확진 3일간 90명 넘으면 사회적 거리두기 재개”

입력 2020-06-23 04:01

박원순(사진) 서울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을 막기 위해 승부수를 띄웠다. 박 시장은 서울시에서 3일간 일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30명을 넘어서거나 병상가동률이 70%에 도달하면 전면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겠다고 선언했다.

박 시장은 22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코로나19의 폭발적 전염력을 감안할때 산발적 집단감염의 고리를 지금이라도 끊지 않으면 2차 대유행은 언제라도 촉발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2차 대유행의 나쁜 징조들이 서울과 수도권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어 중대고비”라고 밝혔다. 이어 “당초 감염병 전문가들은 (2차 대유행) 시기를 올 가을로 예상했으나 지금 추세라면 7월로 앞당겨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 발생 전까지는 한 사람이 전파시키는 지수를 뜻하는 감염재생산지수(R)가 전국 평균 0.58로, 확진자 2명당 1명이 감염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4월 30일~6월 11일 전국 평균 R값은 1.79로 급증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한 달 뒤 하루 확진자수는 8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박 시장은 지난 3월 2일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잠시멈춤’을 처음 제안했고, 이후 정부와 각 지자체가 동참해 전국적인 운동이 됐다. 당시 잠시멈춤을 시행한 결과 출근시간대 버스와 지하철 이용객수가 37.5%의 감소폭을 기록하면서 코로나19 확산세도 꺾였다.

박 시장은 “의료방역진의 누적된 피로가 위험수위에 와 있다”며 “가을·겨울철에 독감유행과 겹칠 경우 의료방역체계가 붕괴되는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독감(인플루엔자)은 영유아, 청소년 등의 치명률이 상당하고 연간 10억명으로 추정되는 전염력 등을 고려할때 또 다른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며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2차 대유행에 대비해 대대적인 선제검사를 통한 감시체계 강화, 감염병 대응과 연구를 전담할 조직과 추적관리 역량 강화, 수도권 3개 광역 지자체와 중앙정부간 협력·지원체계 유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고위험군인 요양시설, 노숙인, 쪽방촌 거주자, 무자격 체류 외국인 등 사각지대를 발굴해 2차 선제검사를 시행하고 7월에 역학조사실과 방역관리팀, 감염병연구센터를 신설한다.

박 시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는 치료제와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코로나19를 상대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시민들도 느슨했던 마음을 다잡고 거리두기를 생활화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