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신 폭 적었던 김연철 장관 사의… 원로·여권 ‘흔들기’ 작용했나

입력 2020-06-19 04:05
김연철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지난 17일 전격 사의를 표명한 것에는 북한의 기습적인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라는 악재 외에도 외부의 흔들기가 상당부분 작용한 것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문재인정부 들어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국가정보원이 사실상 대북정책을 주도해온 만큼 통일부가 자체적으로 적극 나서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통일부가 수동적’이라는 압박이 결국은 김 장관 사퇴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겠느냐는 분석이다.

김 장관은 지난해 4월 임명됐다. 얼마 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로 남북 관계 여건이 나빠질 대로 나빠진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그동안 김 장관에겐 대북정책 원로들과 여권 일각에서 “통 크게 저질러야 한다”는 주문을 계속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여당과 대북정책 원로들의 통일부 압박은 최근에도 공개적으로 계속 이어졌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6일 김 장관에게 공식석상에서 강도 높은 경고를 했고,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지난 17일 통일부를 향해 “도대체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없다. 완전히 개조해야 한다”고 작심 비판했다. 16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도 여당 의원들은 통일부가 제 역할을 못한다고 맹공을 가했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역시 최근 인터뷰에서 “통일부 장관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했다.

2018년 4월 판문점선언 등 화해 무드 조성을 이끌었던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이 사퇴한 배경에도 여권의 흔들기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장관도 퇴임 전까지 여권 일각으로부터 남북협력 추진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