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여권에서 ‘임종석(사진) 역할론’이 다시 흘러나오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성 정치권을 떠난 그를 다시 불러낸 건 통일부 책임론이다.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있으면서 통일부 등 관계부처를 적극적으로 이끌며 남북 관계 개선에 앞장섰던 그가 떠난 뒤로 통일부도 제 역할을 못하고, 남북 관계에도 균열이 생겼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18일 “임 전 실장이 청와대에 있을 때 과감하고 적극적인 대북 정책을 주도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을 끊임없이 설득한 것은 물론 통일부에도 강력하게 정책 주문을 하면서 그립을 강하게 쥐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연이은 강경 조치 이유가 표면적으로는 대북전단 살포지만, 그간 누적됐던 소통 부족이란 분석이 많다. 그런 만큼 북한과 남다른 신뢰 관계를 갖고 있는 임 전 실장이야말로 북한과 직접 소통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임 전 실장과 가까운 민주당 의원은 “북한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접촉해 온 사람을 특별히 신뢰한다”며 “과거 전대협 의장 시절 임수경 전 의원 방북 사건 등 북한과 쌓아온 신뢰 관계가 각별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관측이 엇갈린다. 임 전 실장은 지난달 ‘창비’와의 대담에서 “남북 문제에서의 어떤 변화와 함께 정치적 역할이 있으면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그와 가까운 여권 관계자는 “임종석이라는 자원을 쓰기에 통일부 장관 자리는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차기 통일부 장관에 관료, 학자보다는 정치인을 임명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높다. 당 핵심 관계자는 “조명균 전 장관과 김연철 장관 모두 부처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다”며 “상황 돌파를 위해선 정무적 감각을 겸비한 정치인 출신 장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마평에는 이인영 우상호 홍익표 의원 등이 오르내린다. 이 의원은 2017년부터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민통선 통일걷기 행사 등 남북 문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우 의원과 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을 지낸 홍 의원도 주요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
▶
▶
▶
▶
▶
▶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