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와중에 양국 간 고위급 회담이 이뤄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하와이에서 만나 17일까지 비공개로 얘기를 나눴다. 1박2일간의 회동 이후 특별한 합의사항은 발표되지 않았다. 양측은 다만 상호협력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얘기했다고 밝혔다. 미 언론들은 양국 간 과열된 갈등을 식히기 위한 만남으로 분석했다.
1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과 중국이 하와이에서 열린 1박2일간의 고위급 회담에서 홍콩과 대만 관련 문제를 놓고 심도 깊게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에 따르면 양 정치국원은 이날 회담에서 “중국은 미국과 비대립적이고 상호존중하는 관계를 만들어가길 희망한다”면서도 “영토와 안보, 국가발전과 관련된 이익은 철저히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 협조하고 조율하며 안정을 찾아가는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자오 대변인은 이어 “양 정치국원이 홍콩과 대만, 신장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며 “홍콩 국가보안법 문제는 중국 내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도 성명을 내고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의 국익은 물론이고 상업, 안보, 외교적 측면에서 미·중 상호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또 코로나19 사태를 수습하고 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정보 교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회담에서 실질적인 합의가 나올 것으로 보는 전문가는 별로 없다고 전했다. 양국 간 과열된 갈등이 미·중 관계 악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데 회담의 목적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대북특별대표를 겸하는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대표도 참석했다. 때문에 최근 강경 행보를 보이는 북한 문제에 대해서 양측이 논의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건 대표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워싱턴DC를 전격 방문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날 예정으로 알려졌다.
미·중 고위급 회담에도 불구하고 양측의 갈등은 이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날 중국 내 이슬람 소수민족인 위구르족 탄압에 책임 있는 중국 당국자를 제재할 수 있도록 한 ‘2020년 위구르 인권정책법’에 서명했다.
중국 외교부는 즉각 성명을 내고 “이 법안은 중국 신장의 인권 상황을 고의로 모독했고 국제법을 대놓고 짓밟았으며 중국 내정에 함부로 간섭한 것”이라며 미국을 비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