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자산 전개·한미 훈련 재개”… 美 대북강경론 고개

입력 2020-06-19 04:03
사진=연합뉴스

미국 행정부가 대남 강경 기조로 전환한 북한에 추가 도발 자제를 촉구하는 선에 머무르고 있지만, 군부와 의회 등에서는 군사적 대응을 주문하는 ‘대북강경론’이 다시 나오고 있다.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17일(현지시간)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한반도 이슈 관련 화상 세미나에서 북측 도발에 대항해 미군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를 포함한 군사적 압박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략자산 전개 재개를 통해 북한을 뒤흔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북한이 선을 넘었다는 것을 알도록 그들을 동요시키는 군사 대응이 필요하다”며 “구체적으로 지난 2018년 이후 중단됐던 핵 폭격기, F-35 전투기, 항공모함, 핵 잠수함 등의 전개를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여름과 가을에 한·미 연합 군사훈련도 재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허버트 맥매스터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허드슨연구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북한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모습을 군사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연합훈련의 필요성을 거론하며 “문재인 대통령은 훨씬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 북한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8월에 예정된 훈련들이 있다. 나는 그것들이 강력한 훈련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미 의회에서도 대북 군사압박 강화 주장이 나왔다.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간사인 테드 요호 공화당 의원은 이날 미 전직의원협회가 주최한 화상 세미나에서 “군사적 노력 및 캠페인을 한국과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