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북한에 추가 도발을 자제하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의 진짜 타깃은 미국이라며,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사진) 대통령을 자극하기 위해 11월 미 대선 전 ‘레드라인’에 근접한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북한 행동에 대한 입장을 묻는 국민일보 질의에 “북한에 역효과를 낳는 추가 행동을 삼갈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남북 관계에 대한 한국의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그동안 남북 관계 관련 논평에서 한국 정부에 대해 ‘비핵화와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는데, 이번에는 ‘비핵화’ 언급은 빼고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
외신들은 북한의 도발 이유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고 있다. AP통신은 “북한은 핵 외교가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미국과 한국을 압박하는, 연출된 분노의 표시로 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며 “북한이 비핵화 외교에 들어선 2018년 이후 가장 도발적인 행동”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분노는 한국 정부의 설득에 따라 북한이 미국과 비핵화 협상에 나섰음에도 제재 해제에 아무 진전이 없는 데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한국을 넘어 미국을 직접 위협하기 위해 핵실험 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감행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벨기에 유럽연구소의 라몬 파체코 파르도 한국석좌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트럼프 대통령은 당분간 북한에 관심이 없음을 보여줬다”며 “나는 11월 미 대선 전 핵실험이나 ICBM 시험발사 같은 형태의 실질적인 긴장 고조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을 잡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 국익연구소(CNI) 해리 카지아니스 한국담당 국장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한국전쟁 발발 70주년(6월 25일)과 미국의 독립기념일(7월 4일)이 다가온다”며 “북한이 수개월 동안 위협해 왔던 ICBM 시험발사를 할 것 같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넘어서는 안 될 레드라인으로 ‘ICBM에 핵탄두를 탑재해 무기화하는 것”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도 침묵을 지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대화 무용론이 불거질 때마다 김 위원장과 주고 받은 친서를 공개하거나 개인적 신뢰를 드러내며 반박해 왔는데, 올해 들어 북한 문제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 재선 가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한의 대남 도발 국면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전면에 나서고 있다. 외신들은 이 점에 주목하면서 김정은 건강이상설과 김여정 후계자설을 다시 제기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김 위원장이 아프다는 확실한 증거는 여전히 없지만 그의 건강이 최상의 상태는 아니며 장기적으로 자신에게 집중된 권력을 가족과 공유하려 하고 있다는 추측을 낳게 한다”고 전했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교의 뤼디거 프랑크 교수는 현지 방송에 출연해 김 제1부부장이 ‘나쁜 경찰’ 역할을 맡았다고 평가했다. 추후 김 위원장이 외교 활동을 재개할 때 운신의 폭을 넓혀주기 위한 역할 분담이라는 해석이다. 그는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서 북한이 안심하고 도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분석도 내놨다.
▶
▶
▶
▶
▶
▶
▶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권지혜 이형민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