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근무가 나라별 상황에 맞춰 진화하고 있다. 기존 단점인 ‘업무 효율 저하’ ‘고령 노동자 소외’를 첨단 기술로 보완하고, 장점인 ‘출퇴근·육아문제 해소’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서울시 산하 서울디지털재단은 해외 주요국가들의 원격근무 동향을 조사한 보고서를 17일 발표했다. 재단은 “원격근무는 근로자 삶의 질을 높이고 저출산·고령화,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럽은 올해 고령 근로자 맞춤형 원격근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본적인 정보통신기술(ICT)을 교육한 뒤 의사결정을 돕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지원한다. 업무 공간에 각종 센서를 부착해 근로자의 실시간 건강 상태를 돌볼 방침이다.
부모를 위한 ‘육아연계형 공유오피스’도 운영한다. 이미 영국,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등 유럽 전반에서 운영 중이다. 보고서는 “국내에서도 이와 비슷한 ‘스마트워크센터’가 2012년 설립됐지만 보편화하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워케이션’ 제도를 장려하고 있다. 해안 피서지나 온천 등에서 일할 수 있게 해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한다는 취지다. 실제 일본항공(JAL)이 2017년 7월 도입해 해외 관광지·리조트 등에서의 근무를 허용했다.
일본은 또 공중전화박스형 1인 사무실인 ‘텔레큐브’를 지하철역과 백화점, 공터 등 주변 곳곳에 설치하고 있다. 가로·세로 각 1.1m, 높이 2.2m, 무게 296㎏의 크기로 사무에 필요한 각종 설비를 갖추고 있다. 2023년까지 약 100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미국은 원격근무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버지니아주는 원격근무 도입 기업·근로자에게 각종 지원금과 세액공제 혜택을 준다. 유타주는 2018년부터 1년 동안 공공 부문 136명의 근로자들이 일주일에 최소 3일을 원격근무하도록 해 근로 생산성 향상과 대기질 개선 부동산 유지비 절감 효과를 거뒀다. 보고서는 “서울시 등 국내 공공 부문에서도 집과 지역사회, 거점오피스 근무 등 다양한 업무방식 도입을 고민할 때”라고 제언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