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6일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긴급회의를 열고 “북측이 상황을 계속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할 경우 우리는 그에 강력히 대응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인 전날 북한을 향해 “대화의 창을 닫지 말라”고 제안한 다음 날 남북 협력의 상징이었던 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면서 곤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하기 직전까지도 청와대는 협력 의사를 밝혔지만, 폭파 이후엔 유감과 맞대응 경고로 기조를 전환했다.
김유근 NSC 사무처장은 이날 오후 6시30분 브리핑에서 “북측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파괴는 남북 관계의 발전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바라는 모든 이의 기대를 저버린 행위”라며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태의 책임이 전적으로 북측에 있음을 분명히 한다”며 향후 강력 대응을 경고했다.
NSC 상임위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이날 오후 5시5분 개최됐다.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 2시간여 만이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하는 NSC 전체회의가 열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지만, 정 실장이 주재하는 NSC 상임위로 진행됐다. 청와대는 대북 전단 사태 이후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에도 유감이나 우려 표명 없이 ‘로키(절제된 대응)’ 기조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이날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시키자 ‘선’을 넘었다고 판단, 강력한 유감과 대응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청와대는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 전까지도 관련 징후를 전혀 감지하지 못한 분위기였다. 강민석 대변인은 오후 2시20분 브리핑에서 창녕 아동 학대 사건에 대한 대통령 지시를 발표했다. 이후에도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남북) 정상회담 제안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라고도 했다. 정의용 실장도 오후 3시에 열린 신임대사 신임장 수여식에 배석하는 등 통상 업무를 봤다. 하지만 거의 같은 시간대에 북한은 연락사무소를 폭파했고, 청와대도 그동안의 기조를 급전환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군 당국은 대북 감시·대비 태세를 강화하는 등 군사 도발에 대한 대비 태세에 나섰다. 국방부는 “북한이 (추후) 군사적 도발 행위를 감행한다면 우리 군은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 군은 현 안보 상황과 관련해 북한군의 동향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면서 확고한 군사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사흘 전 북한이 연락사무소 폭파를 예고한 이후 군 감시 자산을 통해 연락사무소 건물과 주변 동향을 실시간 확인해 왔다. 북한이 오후 폭파를 단행하자 이 사실은 즉각 지휘 계통을 통해 보고됐다. 정 장관과 박한기 합참의장은 보고를 받은 직후 합참 지하의 지휘통제실로 내려가 최전방 대비 태세를 확인하는 등 관련 상황 관리에 나섰다. 최전방 부대 지휘관들에게는 모두 정위치해 부대를 지휘하도록 지시했다.
관계 부처 장관들도 당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참석 중이던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개성공단 지역에서 폭음과 연기가 관측된 직후 “일단 예고된 부분이 있다”며 “조금 더 정확한 상황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회의에서 “여기에 와 있는 상황에 (폭발이) 벌어졌다”며 “조금 전 보고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
▶
▶
▶
▶
▶
임성수 문동성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