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원희룡, 도의회와 불협화음

입력 2020-06-17 04:01 수정 2020-06-17 04:01

‘원희룡(사진) 제주도정’이 위기를 맞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반년째로 접어들면서 도예산 집행을 둘러싸고 도의회와의 마찰은 물론 인선을 둘러싼 불협화음까지 겪고 있기 때문이다. 원 지사는 지역 여론의 뭇매를 맞으며 결정적인 사안마다 지역사회 비판을 받는 분위기다.

원 지사는 2년 전 재선되자마자 제주도의회와 함께 제주도·제주도의회 상설정책협의회를 설치했다. 원활한 도정을 집행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정책협의회는 지난 11일 갑작스레 결렬됐다. 개최 2시간을 앞두고 제주도의회가 불발을 선언한 것이다.

도의회 운영위원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제주도의) 2020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방향에 많은 부분 공감할 수 없었다”고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협치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고 문화”라고 했다. 가장 큰 이유는 제주도가 7월 지급하기로 한 2차 제주형 재난지원금 지급대상에 대한 이견 때문이었다.

도의회는 지난 5월 제주도가 제출한 1회 추경 예산안을 원안대로 의결하면서 ‘2차 지원금 전 도민 지급’을 부대조건으로 제시했다. 원 지사는 자신의 원칙에 따라 선별 지급을 고수해왔다. 1차 지급도 중위소득 100% 이하 및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급감 가구에 초점 맞춰졌다.

하지만 코로나19 피해 가구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추진한 재난지원금 지급과정에서 실제 코로나19로 소득이 크게 준 가구들이 증명이 어려워 대상에서 제외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협의회 무산 논란이 커지자 도는 5일만에 꼬리를 내렸다. 원 지사는 16일 긴급 보도자료를 내고 ‘2차 지원금 전 도민 지급’을 발표했다. ‘핀셋 지원’의 원칙을 양보한 셈이다.

그러나 원 지사의 결정에도 도민들의 여론은 호의적이지 않다. 그가 감염병 사태 장기화에 취약한 제주의 산업구조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선별지급 원칙만 강조해왔기 때문이다.

도정 요직 인선도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내정한 제주시장과 서귀포시장 임용 후보자가 둘다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었던 인물이라서다.

제주도는 지난 10일 이들에 대한 인사청문요청서를 도의회에 전달했지만 언론과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공직사회 내부로부터도 반발을 사고 있다.

최근 임명을 강행한 이승택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에 대해서도 문화예술계의 반발이 크다. 원 지사 자신이 최측근을 낙하산 등용했다는 것이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