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단독의 국회 원 구성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미래통합당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딜레마에 빠졌다. 지난 20대 국회 때 ‘동물 국회’의 주범으로 국민들의 외면을 받았던 만큼 강경 투쟁은 부담스러운데, 그렇다고 싸우지 않고 가만히 있자니 무기력하게 여당에 끌려가는 상황에 처했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긴급회의를 열고 “1979년 김영삼(YS) 야당 총재를 당시 집권 세력이 다수의 횡포로 제명했던 게 어떤 정치적 결과를 초래했느냐”고 말했다. 1979년 10월 4일 공화당이 날치기로 신민당 김영삼 총재를 국회에서 제명한 뒤 10월 부마민주항쟁과 10·26 사태가 발생한 사실을 상기시킨 것이다.
그러면서 “거대 여당의 출현으로 민주주의 의회의 기본을 망각하는 현상을 초래한 데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이렇게 국회를 다수의 힘만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 박병석 국회의장께서 다시 한 번 냉정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여당과 국회의장을 거세게 비판했지만 대여 투쟁을 이끌어갈 원내 사령탑은 공백 상태다. 전날 사의를 밝힌 주호영 원내대표는 김 위원장과의 통화에서 “며칠 쉬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주 원내대표가) 당연히 돌아올 것”이라며 성일종 비대위원에게 주 원내대표를 직접 만나 설득할 것을 요청했다.
통합당 중진 의원들은 김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원내 사령탑 부재 상황과 향후 대응책을 논의했다. 5선의 정진석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의원들이 절대적 재신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주 원내대표가 빨리 자리로 돌아와 우리를 대표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통합당 내부에서는 정치적으로 풀어야 하는 원 구성을 두고 강경 투쟁을 벌이다가는 여론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발목 잡는 야당’ 이미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인식도 있다. 다만 18개 상임위를 여당에 다 내줬다가는 실리와 명분 모두를 잃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나온다.
▶
▶
심희정 이상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