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이 두산중공업 정상화를 위해 ‘알짜기업’인 두산인프라코어까지 시장에 내놓자 매각 성사 여부와 이에 따른 그룹 정상화 효과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매각 작업이 지지부진했던 두산건설은 팔릴 만한 자산만 떼어내 분리 매각하기로 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최근 크레디트스위스(CS)를 매각 주간사로 선정하는 등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36.27%를 매각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건설기계·엔진 생산 업체로 지난해 매출액이 8조1858억원으로 전년보다 5.9%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8404억원에 달한다.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매각대금은 6000억~8000억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두산인프라코어가 보유 중인 두산밥캣 지분은 매각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 정상화를 위해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3조6000억원을 지원받는 대신 3조원 규모의 자구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후 두산솔루스, 두산퓨얼셀 등 상대적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려 했지만 인수가격 차이 등으로 차질이 빚어졌다. 이에 핵심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까지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금융업계에선 이번 매각 작업이 그룹 정상화를 위한 자금 조달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동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 굴삭기 시장 호황의 수혜를 누리고 있으며 2016년 빅 배스(big bath·부실자산을 한 회계연도에 모두 반영해 위험 요인을 일시에 제거하는 회계기법) 이후 3년 연속 흑자 기조의 견실한 기업으로 회복되고 있다”며 “매각이 성사되면 그룹의 유동성 회복을 위한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매각이 단기간에 성사되기 쉽지 않을 거란 분석도 있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밥캣을 분리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매물로서 매력이 떨어지고 올해 1분기 말 별도 차입금이 올해 예상 영업이익의 12배에 이른다”며 “중국법인(DICC) 지분 매각과 관련해 7196억원 규모의 소송도 진행 중이어서 이 리스크도 매수자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봤다. 현재 주요 매수자 후보로는 현대중공업이 가장 많이 언급된다.
두산그룹은 기존 두산건설 통매각을 추진했던 것에서 부실 우려가 있는 자산은 남기고 분리 매각하는 방향으로 바꾸기로 했다. 밸류그로스라는 신설 회사를 두산건설 자회사로 설립한 후 지난 15일 미회수 채권이 있는 인천 학인두산위브아파트, 일산제니스 상가 등을 넘겼다. 두산건설 매각 본입찰은 다음 달 중순으로 예정됐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