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하시마(군함도) 탄광 등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을 15일부터 일반에 공개한다. 그러나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는 조처를 함께하겠다는 약속은 지키지 않아 국제사회의 비난이 예상된다.
14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는 일반 공개 하루 전인 이날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취재진에게 공개했다. 산업유산국민회의는 지난 3월 31일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개관했으나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일반 공개는 미뤄왔다.
도쿄 신주쿠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1078㎡ 규모로 마련된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철광, 석탄 산업 등 메이지 시대 산업화 성과를 강조하는 자료들이 전시돼 있다. 2015년 메이지 산업유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적절한 조처를 하겠다”고 한 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일본대사의 발언도 소개돼 있었다.
하지만 전시 내용 중 일제 강점기 징용 피해자를 추모하는 내용은 없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소개된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23곳 중에는 하시마 탄광을 비롯해 7곳의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이 포함돼 있다.
하시마 탄광 전시 코너에서는 징용된 조선인들에 대한 차별적 대우가 없었다는 군함도 옛 주민들의 증언이 소개됐다.
증언 동영상에서 태평양전쟁 당시 어린 시절을 군함도에서 보낸 재일교포 2세 스즈키 후미오는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었다”고 답했다. 또 “조선인을 채찍으로 때렸다는데 사실이냐”는 질문에는 “일을 시켜야 하는데 왜 때리겠냐. 그런 건 없었다”고 답했다.
미쓰비시 중공업의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일한 대만 사람이 “급여를 정확히 현금으로 받았다”고 증언하는 내용과 함께 급여 봉투를 전시해 놓기도 했다.
2015년 메이지 산업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한국 정부가 반대하자 사토 대사는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하면서 “산업유산정보센터 설치를 비롯해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시관은 증언과 자료를 통해 강제징용 피해 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교도통신은 “일본 내에서 군함도에서 조선인이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정설을 ‘자학사관’으로 보고 반론을 펴려는 의도가 있다”면서 “과거의 사실을 덮고 역사 수정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