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중 전환 결정을 받아든 국제중들이 교육청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다. 별도 입장문을 낸 데 이어 법적 대응도 불사할 전망이다.
14일 대원국제중과 영훈국제중에 따르면 이들 학교는 서울시교육청의 국제중 지정 취소 발표 후 공동 입장문을 내 평가의 부당함을 주장했다. 이들은 “정치적 논리로 학교 교육을 매도하는 것은 비교육적”이라며 날을 세웠다.
앞서 교육청은 10일 지정 취소를 발표하면서 주된 감점 사유로 학사 관련 법령 및 지침을 위반해 받은 감사처분 전력을 지적했다. 평가가 교육 전문가 7인에 의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졌다고도 강조했다.
하지만 학교 측은 국제중 폐지를 주장해온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의중이 반영된 결과라고 비판했다. 국제중이 강세를 보였던 학생·학부모·교사 만족도 조사의 배점은 15점에서 9점으로 하향 조정하고, 감사 지적사항 관련 배점은 5점에서 10점으로 늘렸다는 것이다. 대원국제중 관계자는 “단순한 날짜 오기(誤記)까지 감사 지적사항으로 잡고, 중복 감점까지 했다”며 “사실상 결과가 정해진 평가였다”고 주장했다.
연간 1000만원 안팎의 학비 대비 학생 교육 활동에 대한 재정 지원 노력이 저조하다는 지적도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2015년엔 없었던 단서조항이 추가되며 기준 달성이 불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이들 학교가 비판한 것은 학생 1인당 교육비 산출 시 교원 등의 인건비를 제하는 신설 조항이었다. 80%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인건비를 빼고도 학생 1인당 교육비 100만원(‘우수’ 등급 기준)을 충족시킬 순 없다는 것이다. 영훈국제중 관계자는 “국제중 특성상 원어민 교원만 15명”이라며 “학급당 교사 수가 일반 중학교 평균에 비해 1명 이상 많다”고 말했다.
사회통합전형 대상자에 대한 재정 지원이 부족했다는 지적 역시 반박했다. 얼핏 보면 기준이 그대로인 것 같지만 국가·지방자치단체·교육청의 지원금을 제외하라는 단서가 새로 붙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개별적 지적에 대해 별다른 입장은 없다”며 “평가 기준에 관해서는 청문회 때 충분히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측은 청문 단계에서 소명하고 추후 최종 결과에 따라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절차까지 밟을 방침이다. 대원국제중은 학부모들에게 발송한 안내문에서 “잘못된 평가를 바로잡기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며 “공분과 의기를 하나로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두 학교에 대한 청문 절차는 이르면 22일쯤 시작될 전망이다. 청문을 거쳐 교육부가 지정 취소 결정에 동의하면 이들은 내년부터 일반중학교로 전환된다. 부동의 시엔 국제중 지위가 유지된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