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한 자릿수로 떨어질 때까지 수도권의 강화한 방역 조치가 무기한 시행된다. 새로운 집단감염이 꼬리를 물고 확진자가 연일 수십명씩 발생하는 등 수도권 코로나19 상황이 위험수위에 도달했다는 판단에서다.
수도권의 코로나19 전파력(재생산지수)은 지방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12일 “최근 지방에선 환자 1명이 0.6명 정도를 감염시키는 반면 수도권에선 약 1.8명에게 퍼뜨리고 있다”고 밝혔다. 수도권 재생산지수 1.8은 역학조사가 전파속도를 따라가기 힘겨운 수치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감염병 전문가들과 긴급히 만나 수도권 방역전략을 논의하며 “2차 대유행 대비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앙재난대책본부(중대본)는 14일 종료할 예정이던 ‘수도권 방역 강화 조치’를 무기한 연장한다고 밝혔다. 일일 확진자가 한 자리 수로 줄어들 때까지 조치를 이어가고, 상황에 따라 고강도 거리두기로 복귀하는 등의 더 강한 대응을 검토키로 했다.
정부는 일일 확진자 수와 신규 집단발생 건수,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 방역망 내에서 관리되는 환자 비율 등 네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방역 단계를 정한다.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할 때는 ‘2주간 일일 확진자 평균 50명 미만’과 ‘경로 불명 환자 5% 미만’을 근거로 들었다. 중대본에 따르면 5월 23일부터 지난 6일까지 2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는 39.6명이었는데, 이번 주 들어 40~50명대로 높아졌다. 이날도 0시 기준 56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경로 불명 환자는 5월 29일부터 현재까지 9.3%나 됐다.
수도권 방역 강화 조치가 연장됨에 따라 고위험시설 집합 제한 및 공공시설 운영 중단, 학원·PC방을 비롯해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에 내려진 영업중단 권고 등 기존 방침이 유지된다. 정부는 방역수칙을 강제 적용하는 고위험시설로 현행 8곳(헌팅포차, 감성주점, 유흥주점, 단란주점, 콜라텍, 노래연습장, 실내 GX, 실내스탠딩 공연장) 외에 함바식당, 떴다방, 인력사무소, 포교시설 등을 추가 지정할 예정이다. 이런 시설에서 방역수칙을 어기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처벌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운영자는 물론 이용자에게도 벌칙이 적용된다.
고위험시설에 의무화한 전자출입명부를 차질 없이 도입하고, 수도권에선 학원과 PC방에도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고시원과 쪽방촌 등 제도권 밖 시설에 대해 선제적 선별검사를 실시하며, 수도권 역학조사관도 늘려 추적 속도를 높일 예정이다. 박능후 중대본 1차장은 “집단감염 연쇄고리를 끊지 못하면 더 큰 고통과 인내의 시간을 맞게 될 것”이라며 “사업장, 다중시설, 소모임 등 모든 곳의 방역관리를 철저히 실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