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혈장을 공여하겠다고 나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완치자가 1주일 새 6배 넘게 늘었다. 정부는 최대 200명의 혈장을 확보하기 위해 혈장공여체계를 확대할 방침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1일까지 혈장공여 의사를 밝힌 사람은 모두 75명이다. 지난 3일 12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주일 만에 6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정부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소 130명, 최대 200명의 혈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중화항체가 형성되지 않는 등의 사유로 혈장 채취 대상에서 탈락할 수 있어 최대한 많은 수의 공여자를 모집해야 한다.
현재 혈장 공여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전국에 4곳뿐이다.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했던 대구에 3곳(계명대동산병원, 경북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과 경기도에 1곳(고대안산병원)이다. 혈장 공여를 하고 싶어도 해당 의료기관까지 가기 어렵다는 게 문제로 지적된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혈장 공여는 성분채혈기가 갖춰진 의료기관에서 이뤄지는데 이를 갖춘 의료기관이 전국에 20곳이 채 안 된다”며 “이 때문에 (혈장 공여가 가능한 의료기관이) 지역별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상시험 후 효과가 확인돼 혈장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서게 되면 혈장공여체계를 확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혈장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액 속에 포함된 항체 및 면역글로블린을 농축해 다른 환자에게 투여하는 치료법이다. 효과에 대해선 논란이 있지만 현재로선 가장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치료제다.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치료제 국산화에도 의의가 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