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부터 개인별로 최적화된 맞춤 교통정보를 앱을 통해 실시간 받아볼 수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을 알려주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서울시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개인의 통행특성을 분석해 맞춤형 서비스를 추천하는 ‘마이데이터 앱(가칭)’을 출시해 시민들에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면 신용카드를 이용한 대중교통 탑승, 자전거나 킥보드 등 공유 교통수단 이용 같이 여러 기관과 기업에 흩어져 있는 자신의 통행·이동 궤적 데이터를 통해 AI가 실시간 맞춤경로를 찾아낸다. 가령 빨리가는 것보다 한적한 것을 선호하는 이용자에게는 혼잡도가 덜한 경로를, 버스보다 지하철을 선호하는 이용자에게는 지하철 중심경로를, 걷기를 선호하는 이용자에게는 걷기편한 경로를 각각 안내하는 방식이다. 돌발집회 등 실시간으로 예측되는 교통, 통행, 날씨 등의 정보도 반영돼 이동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감염병 전염에 대한 우려 없이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확진자 이동동선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통해 내 이동경로와 겹칠 경우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저상버스를 타야하는 휠체어 이용자가 혼잡버스, 혼잡시간을 피해 자신이 원하는 정류소에서 탑승예약을 할 수 있는 예약 서비스도 가능하다. 민간기업 서비스와도 결합해 쿠폰, 할인, 포인트 등 다양한 혜택도 제공한다.
서울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2020년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지원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올해부터 3년 간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완성할 계획이다.
우선 올해는 마이데이터 전용 앱을 개발·출시하고 코로나19 확진자 중복경로 등 ‘안심이용’ 서비스부터 시작한다. 2021년에는 공유킥보드, 주차장, 대리운전 등 다양한 민간서비스와 결합하고 쿠폰·할인 등 혜택도 도입한다. 2022년에는 대형 플랫폼 사업자에 종속되지 않고 누구나 데이터를 이용하고 사업화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환경을 조성한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