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K-방역’의 대표 상품인 코로나19 진단기술의 특허출원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지난 2월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진단기술 관련 특허를 출원한 이후 4개월 만에 40건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과거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던 호흡기 관련 바이러스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증가세라고 특허청은 설명했다. 2002년 발생한 사스의 특허출원 건수는 18년 간 19건, 2013년 메르스의 경우 7년 간 32건을 기록했다.
특허출원의 급증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진단기술의 전 세계적 수요 폭증, K-방역에 대한 대외적 신뢰도 상승, 승인 절차 신속화 및 국제 표준화 등 국가차원의 지원이 기술 개발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출원된 코로나19 진단기술은 분자진단법 22건, 면역진단법 18건으로 나뉜다. 분자진단법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증폭해 검출하는 방식이다. 면역진단법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항원이나 인체의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출원 주체별로는 정부기관·출연연구기관 6건, 대학 12건, 기업체 17건, 개인 5건으로 나타났다. 이중 10여건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1호 등록특허인 의무사령부의 진단기술과 충북대 등록 2건의 출원은 기업에 권리가 이전돼 기술이전과 사업화 사례 역시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종혁 특허청 바이오헬스케어심사과장은 “주요 감염병 진단기술에 대한 산업·특허동향 분석을 제공, 국내 기업들의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