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잠실에 제2 코엑스 짓는다

입력 2020-06-11 04:07

정부가 수출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서울 잠실에 들어설 ‘제2 코엑스’를 10만㎡ 규모가 넘는 대규모 전시장을 포함한 도심형 복합공간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수출 상품의 화물 운송을 지원하기 위해 여객기의 수화물칸과 빈 승객 좌석을 활용하도록 허용하고, 기업인의 출입국 애로도 최대한 해소하기로 했다.

정부는 1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현장에 기반한 수출활력제고방안’을 확정했다.

우선 수출 기반을 보강하기 위해 수출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전시산업의 인프라를 2배 확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3조6000억원을 들여 현재 전국 11개 전시장의 면적을 현행 29만3000㎡에서 56만1000㎡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 적격성 심사를 통과한 제2 코엑스는 도심 접근성이 좋다는 장점을 활용해 10만㎡ 이상의 초대형 소비재 전시장을 세우고 스포츠시설과 호텔 등까지 어우러진 ‘도심형 복합공간’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에 있는 킨텍스 제3전시장은 공항과 항만 이용이 용이하다는 점에 착안, 대형 산업재 중심의 전시장으로 탈바꿈한다.

다만 코로나19 사태로 전시회가 계속 취소됐던 것을 고려하면 오프라인 전시장 규모를 키우는 것이 ‘포스트 코로나’ 수출 대책으로 적절치 않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한국이 세계 10대 무역 강국인데도 전시 인프라는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정부는 아울러 수출 상품과 기업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조치도 내놨다. 항공안전법상 위험물이 아닌 화물에 대해서는 객실 내 천장 수화물이나 빈 승객 좌석에도 화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아울러 현재 중국 10개 성(省)·시와 체결 중인 ‘기업인 신속통로’ 협약을 중국 전 지역과 아세안 등 한국 기업 진출 수요가 많은 곳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코로나19 위험도가 낮은 국가에 단기 체류한 기업인은 ‘귀국 시 격리면제’를 적용한다.

보증 한도 때문에 추가 대출을 못 받는 수출 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무역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이 합쳐 2000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 대책도 추가된다.

비대면 수출 지원 활성화 차원에서 화상상담 지원 인프라도 현행 90개에서 1600여개로 대폭 확충한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