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 전용 출입국 패스트트랙과 화물 전세기 투입 대상국이 아세안(ASEAN) 등 주요 수출 지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무역금융 심사 기준도 대폭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는 10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서울정부청사에서 주재한 제2차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에서 무역업계의 주요 애로 및 정책과제를 정부에 건의해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고 밝혔다. 협회는 최근 722개 무역 업체를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19 무역업계 애로 및 정책건의’ 설문조사를 진행해 업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협회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해외 주문 감소(61.6%·중복 포함), 출입국 제한 등 인적 이동 제한(52.1%) 등을 꼽았다. 정부에 대해서는 해외 판로 개척(58.2%), 무역금융 확대(48.9%), 규제 완화(29.9%) 등을 요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회의에서 수출 활력 제고를 위해 유동성 위기기업 긴급 지원, 비대면 마케팅 강화, 상품 및 기업인의 이동 방안 등을 발표했다. 유동성 위기 기업을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하반기 중 무역금융 134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한·중 신속통로 모델을 아세안 국가에 우선적으로 확대하고 화물 전세기를 증편할 계획이다.
김영주(사진) 무역협회장은 “글로벌 경기 회복 시점에 해외 수요를 잡기 위해 민관이 합심하고 비대면산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글로벌 패러다임을 따라잡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