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8일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사태와 관련해 “위안부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며 “이는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의연과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이용수 할머니와 관련해선 “위안부운동의 역사”라며 “피해 할머니가 없는 위안부운동을 생각할 수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이번 사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위안부운동의 대의는 굳건히 지켜져야 한다”며 “위안부운동 30년 역사는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여성 인권과 평화를 향한 발걸음이었다. 인류 보편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숭고한 뜻이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위안부운동의 대의가 훼손돼선 안 된다는 것이 대통령이 늘 갖고 있던 생각”이라며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진실규명, 배상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30년 성과가 물거품돼선 안 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운동의 역사를 자세히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김학순 할머니의 역사적 증언에서부터 위안부운동은 시작됐다”며 “전쟁 중 여성에 대한 참혹한 성폭력 범죄가 세계에 알려졌고 한·일 간 역사 문제를 넘어 인류 보편의 인권과 평화의 문제로 논의가 발전됐다”고 말했다.
이용수 할머니를 위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 할머니에 대해 “위안부 문제를 세계적 문제로 만드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하셨다”며 “미 하원에서 최초로 위안부 문제를 생생하게 증언함으로써 일본 정부의 사과와 역사적 책임을 담은 위안부 결의안 채택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소개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이 할머니에 대한 비판, 인신공격과는 선을 그은 것이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참혹했던 삶을 증언하고 위안부운동을 이끌어온 것만으로도 누구의 인정도 필요 없이 스스로 존엄하다”고 했다.
다만 위안부운동의 방식엔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의 논란과 시련이 위안부운동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기부금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기부금 또는 후원금 모금 활동의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도 즉각 “21대 국회에서 기부금 통합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관련 입법과 조치를 강구해 나가겠다”고 보조를 맞췄다.
▶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