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폭염특보가 내려진 대구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과 연계한 폭염대책을 마련했다.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 폭염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지만 냉방이 가능한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효과가 있을지 미지수다.
대구시는 코로나19 방역상황을 고려해 지난해 폭염대책으로 만족도가 높았던 ‘집안의 폭염대피소 사업’을 확대한다고 4일 밝혔다. 독거노인, 몸이 불편한 주민, 쪽방촌 주민 등 폭염취약계층에 냉방용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여름은 경로당 등 실내 체류형 무더위쉼터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1만여 가구에 냉풍기(6400개)와 선풍기(3600개)를 지원할 계획이다.
취약계층 관리도 접촉을 줄이는 쪽으로 바꾼다. 취약계층의 안전관리를 위해 재난도우미 4800여명이 비대면·비접촉 방법으로 보호활동과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폭염으로 인해 입맛을 잃어 음식 섭취가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선식을 제공하고 여름 이불 등 폭염 극복 용품을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한다. 지원활동강화, 긴급생계지원, 응급진료체계 구축 등 기본적인 안전망도 강화할 예정이다.
양산쓰기 일상화 운동과 함께 양산 공용대여사업도 전개한다. 도시철도 3호선 역사 3곳과 동성로, 도심 관광지, 도심공원 등 주요 거리 6곳에서 양심 양산대여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대구시는 접촉을 줄이는 다양한 폭염대책을 마련했지만 여름을 넘기는 것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여름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야하고 그동안 여름마다 운영한 1000여곳의 무더위 쉼터 사용도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연구원 등에서는 개방된 실외장소나 실내체육관 등 환기가 잘되고 공간이 넓은 대형 무더위쉼터 확보, 냉방장치 관리, 폭염취약계층 대면 서비스 일원화, 폭염대책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 등을 제안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제약이 많지만 시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폭염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기온과 방역상황 등을 보고 대책을 보완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