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반발·유럽 시큰둥·日 견제… ‘한국 G11 가입’ 난제 수두룩

입력 2020-06-04 04:02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확대 개편 제안에 “기꺼이 응하겠다”고 밝혔지만 해결해야 될 난제들이 속출하고 있다. 당장 중국이 반발하고 있고, 유럽 국가들도 시큰둥한 데다 일본도 견제에 나서고 있다.

청와대는 G7 확대 개편 가능성과 관련해 올해 의장국이자 초강대국인 미국의 의지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G7이 낡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이 명확하고, 확대 의지도 강하다”며 “영국 캐나다 등에서 G7 확대로 러시아가 재가입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지만 미국이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제안이 단순히 아이디어 차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 의지를 갖고 있다는 게 청와대의 평가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국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하는 것에 더해 브라질을 포함시키는 문제에 대한 의견을 물을 정도로 구체적인 구상을 밝혔다. 또 올 11월에 재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G7 확대 개편을 외교 성과로 내놓기 위해서라도 더 힘을 쏟을 가능성도 크다.

한국 외에 G7 확대 구상에 초청받은 국가들은 환영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G7 확대 구상에 “창의적이고 미래를 내다볼 줄 아는 접근”이라고 극찬했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도 초청받으면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 외에 다른 여건들은 우호적이지 않다. 기존 G7 참가국 사이에서 미국의 일방적인 태도가 비난을 받고 있는 데다 각국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탓이다.

우선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G7 확대 구상에 대해 “대선을 겨냥한 정치쇼”라고 대놓고 비난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논평을 통해 “이 제안은 자신의 정치적 셈법에서 나온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압박하려 하지만 그것은 나머지 국가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은 G7에 참석할 의사를 밝혔지만 아직은 경제·외교·국제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이 크지 않고 호주 역시 한국과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올해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을 통해 중국과의 관계를 진전시키려는 우리 정부로서는 중국의 부정적 태도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러시아 재가입에 대한 유럽의 반감 역시 문제다. 러시아는 과거 G8에 속했지만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합병 이후 제외됐다. 호세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는 “러시아가 방향을 바꾸고 G8이 의미 있는 논의를 다시 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될 때까지 러시아 복귀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G7 의장국의 특권은 게스트 초청장을 발행하는 것이지만 구성원과 구성 방식을 바꾸는 것은 G7 의장국의 특권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일본은 G7이 G11이나 G12로 확대될 경우 일본의 발언권이 약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주요국이 재편될 경우 아시아 참가국이 한국 일본 인도 3개국으로 단번에 늘어 일본의 존재감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일본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진의를 파악하지 못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임성수 임세정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