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심을 관통하는 광주천이 명품 산책코스를 갖춘 친환경 생태하천으로 거듭난다. 천덕꾸러기 하천에서 문화중심도시에 어울리는 시민휴식공간이 될지 주목된다.
광주시는 ‘광주천 아리랑 문화물길 조성사업’을 본격 착공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2022년까지 401억원을 들여 광주천 전 구간 19.5㎞에 대한 환경정비와 함께 대대적인 생태복원 사업을 벌인다. 우선 수량 확보차원에서 매일 1~2급수의 하천유지 용수 10만8000t을 공급한다.
생태복원과 더불어 친수시설도 대폭 확충한다. 사계절 꽃이 만발하는 정원과 잔디광장을 곳곳에 만들고 양동시장 하천 둔치는 공연·전시가 이어지는 문화공간으로 꾸민다.
그동안 광주천으로 단절됐던 양림동과 문화전당 사이는 1970년대 광주의 명물로 꼽히던 ‘뽕뽕다리’와 함께 징검다리로 연결해 포토존, 전시공간 등 관광자원화 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와 함께 임동 공영주차장을 증축해 광주천 생태학습관으로 개방하기로 했다.
광주천에 유입되는 오·폐수를 줄이기 위해 북구 신안교~제2하수처리장 3.4㎞구간 오수간선 관로를 교체하거나 정비할 계획이다.
광주천은 1980년대 이후 생활용수와 각종 오·폐수가 대량 배출돼 영산강 오염의 주범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오염물이 퇴적하면서 바닥을 드러내는 ‘건천화’ 현상까지 발생해 악취를 내뿜는 구간도 적지 않다.
시는 2018년 ‘광주천 아리랑 문화물길 조성단’을 출범시켜 생태하천 복원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왔다. 광주천은 용연동 무등산 장불재에서 발원해 충장로 등 구 도심과 상무지구 등 신 도심을 흐르는 영산강 제1지류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