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연방군 동원”… 28년 만에 ‘폭동진압법’ 발동 검토

입력 2020-06-03 04:0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 인근의 세인트존스 교회 앞에서 성경책을 든 채 포즈를 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교회로 향하는 길을 트기 위해 주방위군은 시위대를 향해 최루탄과 연막탄을 무차별 발사했고, 성공회 주교들은 “대통령이 교회 건물과 성경을 편파적 목적으로 이용했다. 신성모독”이라고 비판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흑인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폭력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연방군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위해 주지사 요청 없이도 연방군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폭동진압법(Insurrection Act)’ 발동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 언론이 보도했다. 1807년 제정된 이 법은 1967년 디트로이트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LA) 폭동 때 발동된 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난 폭도가 평화적 시위를 집어삼키게 할 수 없다”며 “폭동과 약탈을 단속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연방 자산과 민간인, 군대를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정부주의자, 방화범, 약탈자, 범죄자, 안티파 등이 나라를 장악하고 있다”며 “나는 법과 질서의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 앞서 주지사들과 화상회의를 갖고 “여러분이 제압하지 못한다면 한 무리의 얼간이로 보일 것”이라며 강경 진압을 촉구하기도 했다.

주지사는 폭동이나 반란을 진압할 수 없을 때 대통령에게 연방군 투입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시위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런 요청을 한 주지사는 없다. 시위 현장에서 약탈, 방화 등 폭력 사태가 벌어지고는 있지만 지역 경찰과 주방위군 선에서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는 얘기다. 워싱턴DC와 29개주에서 치안 유지 업무에 동원된 주방위군은 1만7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군 투입 방안을 심각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NBC방송이 전했다. 백악관 대변인도 “폭동진압법 발효는 여러 방안 중 하나”라며 “발효 여부는 대통령 권한”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은 미 전역의 폭력 시위를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한 중앙지휘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1일 밤(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차이나타운 지구에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대를 향해 군사용 헬리콥터가 저공비행을 하며 위협하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 헬기는 블랙호크로 다목적 공수작전에 사용하는 미 육군의 주력 헬기다. 수도인 워싱턴DC는 육군이 주지사 승인 없이 연방군을 배치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다. AFP연합뉴스

백인 경찰의 가혹 행위로 숨진 조지 플로이드를 추모하고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는 이날도 계속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시작하기 전 백악관 맞은편 라파예트 공원에선 경찰과 주방위군이 평화 시위를 벌이던 시민들을 향해 섬광탄과 최루탄을 발사하는 일이 벌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7분 남짓한 기자회견을 마치고 백악관을 걸어나와 세인트존스 교회까지 이동했는데, 길을 트기 위해 시위대를 강제 해산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교회 앞에서 성경책을 들고 취재진 앞에서 포즈를 취하기도 했다. ‘정치쇼’ ‘신성모독’이라는 비판이 잇따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말 뉴스를 달군 ‘백악관 벙커 대피’ 보도와 시위대 모습에 화가 나 이날 참모들과 워싱턴 통제 방안을 길게 논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뉴욕 등 도시 곳곳에선 산발적으로 약탈, 방화가 계속됐다. AP통신에 따르면 미 전역에서 체포된 시위대는 5600명에 달했다. 그러나 과격 시위를 자제하자는 움직임도 조금씩 확산되고 있다. 플로이드가 숨진 버지니아주 미니애폴리스는 추모 장소로 거듭났다. 플로이드가 숨을 거둔 곳에는 시민들이 놓아둔 꽃과 추모 메시지가 가득했다.

플로이드의 동생 테런스 플로이드는 이곳에서 “형은 폭력이나 파괴 행위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CNN은 “사람들이 점점 테런스의 메시지를 가슴 깊이 새기면서 새로운 고요함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