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 출신인 김광수(사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가 세계 최초로 맞춤형 줄기세포를 통한 파킨슨병 임상치료에 성공했다고 KAIST가 2일 밝혔다.
김 교수는 하버드의대 맥린병원 분자신경생물학 실험실 소장을 맡고 있다.
파킨슨병은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사멸하며 발생한다. 김 교수 연구팀은 파킨슨병 환자의 피부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로 바꾸는 ‘역분화 줄기세포’ 기술을 이용했다. 환자의 피부세포를 변형해 도파민을 생성토록 한 뒤 이를 파킨슨병 환자 뇌에 깊숙이 주입한 것이다.
그 결과 파킨슨병 환자가 면역체계 거부반응 없이 구두끈을 다시 묶을 수 있었고, 수영을 하거나 자전거를 탈 정도로 운동능력을 회복했다. 특히 자가세포를 이용한 만큼 종양 발생과 같은 부작용이 없었다. 약물 무반응 시간 역시 하루 3시간에서 1시간으로 줄고 복용하는 도파민 약제의 양도 감소했다.
‘유도만능 줄기세포(iPS)’를 이용한 뇌질환 치료로써는 전 세계 최초의 성공 사례다. iPS 제조기술은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개발했지만 환자 치료에 성공하지 못했다.
김 교수팀의 연구 성과는 지난달 14일 세계 최고 권위의 의학분야 저널인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게재됐다.
김 교수는 “안정성과 효능성 입증을 위해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며 “10여년 정도 후속 연구를 수행하면 맞춤형 세포치료가 파킨슨병의 또 다른 보편적 치료 방법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