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8·29 전당대회가 조기 점화되면서 당권은 물론 대권을 둘러싼 물밑 경쟁이 꿈틀거리고 있다.
이낙연 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과 김부겸 전 의원이 당권 경쟁을 예고한 8월 전당대회는 대선 전초전이 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 위기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고 있는 정세균 총리가 최근 광폭 행포를 보여 대선 몸풀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민주당은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에 4선의 안규백 의원을 임명하고 본격적인 전당대회 준비에 착수했다. 대선 주자들의 당권 도전으로 당내에서는 ‘대선 출마 1년 전 당대표 사퇴’ 조항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안 의원은 3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에 대한 논의와 관련해 “이번 주 전준위를 구성한 뒤 관련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당대표가 대선 출마를 이유로 사퇴할 경우 나머지 최고위원들의 임기에 대해 2년을 보장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안 의원은 “(당대표가 사퇴하더라도) 최고위원의 임기를 단축할 만한 요인이 없다”며 “임기를 단축하면 어느 후보가 출마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낙연 위원장과 더불어 대선 유력 주자로 꼽히는 정 총리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총리는 오는 9일 민주당, 12일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단과 만찬을 할 예정이다. 지난 28일에는 심상정 대표 등 정의당 당선인 6명을 공관에 초대해 만찬을 가졌다. 일각에서 제기된 대권 행보 관측에 정 총리 측 관계자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을 위한 행보일 뿐 대권 행보와는 관계가 없다”며 “정 총리는 지금 문재인정부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생각”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정 총리의 행보는 유력 대권 주자인 이 위원장과 다양한 대결 구도를 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 모두 각각 전북과 전남을 대표하는 호남 출신 정치인이자 전현직 국무총리, 서울 종로 전현직 의원이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다. 현재 인지도와 지지율에서 이 위원장이 앞서고 있지만 정 총리가 올 하반기까지 코로나 사태를 안정적으로 극복할 경우 상승세를 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부겸 전 의원도 대권으로 직행하는 대신 당권을 거쳐 대권에 도전하는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있다. 이달 초 입장을 표명할 예정인 김 전 의원의 셈법은 복잡하다. 8월 전당대회에서 이 위원장과 접전을 펼쳐 아깝게 질 경우 대권 주자로서의 경쟁력을 부각할 수 있다. 정 총리와 이 위원장이 호남계라는 한계가 있는 반면 김 전 의원은 유력한 영남권 주자로서 강점을 갖는다. 대표적 험지인 대구에 도전해 낙선하는 등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스토리’도 있다. 하지만 함께 당권에 도전하는 우원식 홍영표 의원과 별반 차이 없는 결과를 내면 대권으로 향하는 동력을 잃게 된다.
이가현 김용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