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무차 8400대 상반기 구매

입력 2020-05-29 04:07

정부가 수출 급감으로 어려움에 빠진 자동차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구매 예정인 업무용 차량 1만대 가운데 8400여대를 상반기에 사주기로 했다. 자동차 부품업계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완성차업계와 정부, 지방자치단체가 5000억원 규모의 상생특별보증도 신설한다.

정부는 28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제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주요 피해업종 추가지원 방안을 확정했다. 대부분 정부 예산으로 자동차 부품업과 중형 조선, 섬유·의류, 전시, 스포츠산업 등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미국, 유럽 등으로 퍼지면서 지난 4월부터 완성차 수출은 44.3% 줄었다. 물량으로 국내 생산량의 60% 규모다. 가만두면 5월 이후 완성차 공장 가동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업무용 차량 조기구매 카드를 꺼냈다. 올해 공공기관(6100여대), 국방부(3100대), 경찰(1000대) 등에서 구매 예정인 업무용 차량 중 상반기 안에 80% 이상, 3분기까지 90% 구매 계약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아울러 자동차 부품사 등에 대한 관세조사도 1년간 유예키로 했다.

코로나19로 4월까지 선박 수주가 71% 감소한 조선업 지원을 위해 정부는 어업지도선 등 노후 관공선을 친환경 선박으로 조기 교체하고 해경 함정도 조기 발주, 총 30척의 공공발주를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업황 악화를 겪고 있는 섬유·의류산업 지원을 위해 경찰복, 소방복 등 공공부문 의류 구매 예산의 90%를 상반기 중 조기 집행하기로 했다.

또 사회적 거리두기로 타격을 입은 전시업계 지원에는 무역전시회 등 각종 전시회 참가기업 130여곳에 회당 60만원의 부스 참가비를 지급하는 방안을 포함했다. 기업들의 전시회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당근책이다. 스포츠산업 지원 차원에서 체육도장 등 민간체육시설 이용자 40만명에게 1인당 3만원씩 시설 이용료도 지원한다.

세종=이종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