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달 직장인 수가 지난해 동월 대비 36만명 이상 감소하며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정부가 고용부문 통계를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22만4000명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36만5000명(2.0%) 줄었다.
상용직과 임시·일용직 종사자는 각각 13만3000명(0.9%), 14만4000명(7.9%) 줄었다. 특수고용직을 포함한 기타 종사자도 8만7000명(7.5%) 감소했다. 대기업 등 300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1만4000명(0.5%) 늘었지만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 37만9000명(2.4%) 줄었다. 고용 충격이 취약계층과 영세 사업체에 집중된 셈이다.
이번 조사에서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더욱 도드라졌다. 한 달 이내에 일을 시작할 수 있는 ‘빈 일자리 수’는 11만6000개로 지난해 동월보다 33% 줄었다. 이 중 10만7000개는 상용직 일자리였다. 나머지 9000개는 임시·일용직 일자리로 58.6%나 감소했다. 임시·일용직이 뚫고 들어갈 수 있는 빈 일자리는 10개 중 1개에도 못 미쳤다.
입직자는 지난해 동월보다 6만9000명(7.7%) 감소했다. 특히 신규 채용은 11만2000명(13.3%) 줄어든 73만1000명이었다. 상용직(17.0%), 임시·일용직(10.6%) 모두 급감했다. 이직자는 7만6000명(9.5%) 증가했다. 무급휴직을 포함한 기타 이직자가 10만명(174.0%) 급증한 결과다. 사업주가 고용유지지원금 등으로 감원 대신 고용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다만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경우 이들은 감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비자발적 이직자 45만명 가운데 임시·일용직은 35만5000명이었다. 나머지 9만5000명이 상용직이었다. 해고·구조조정 등으로 어쩔 수 없이 회사를 나온 노동자 10명 중 8명은 임시·일용직이었던 셈이다. 이들 대부분은 건설업(20만7000명), 제조업(4만9000명), 숙박·음식점업(4만7000명)에 근무했다.
노동자 임금과 근로시간에 대한 코로나19 영향이 반영된 첫 통계도 나왔다. 지난 3월 기준 노동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7만3000원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2.3% 증가했다. 이는 저임금 노동자가 대거 일자리를 잃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고용유지지원금을 대폭 늘릴 예정이다. 다음 달 고용유지자금 선융자 사업도 시행한다. 공공부문 55만개 일자리 창출 성과는 이르면 7월부터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권기섭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3월에 이어 4월에도 통계상 고용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수출 쪽이 금방 나아질 것 같지 않아 노동시장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